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념 이해부터 수행평가까지, 챗GPT 수학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실천’이라는 6가지 역량을 길러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최근 저서 을 쓴 조향숙 한국과학창의재단 원격교육연수원장은 “컴퓨터가 이미 계산은 우리보다 잘하고 앞으로 더 잘할 것이기에 AI 시대에서는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력, 컴퓨팅 수학 등의 역량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 ...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만들었지요. 의사과학자는 환자에게 필요한 것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알기 어려운 과학자나 기존에 잘 알려진 의학 지식을 사용해 환자를 치료하는 일반적인 의사가 할 수 없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앞으로 가치가 더욱 높아질 거예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예술가의 능력을 극대화할 거예요 ... ...
-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끼치는 미세중력 환경을 조사함은 물론, 이에 맞는 치료법 개발도 한창이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과 함께하는 면역항암제 실험이 그 중 하나다. 그런데 600m를 낙하하는 시간은 10초 남짓이다. 그렇다고 탑을 무작정 높게 쌓기도 어렵다. 미세중력을 좀 더 오래 구현하는 방법은 비행기를 타고 높이 ... ...
- [포토뉴스] 그림자・제트 동시 포착 진짜 블랙홀을 보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있는 물질들의 흔적(부착원반)이 동시에 관측됐다. 한국천문연구원을 비롯해 중국과학원, 대만 천문학및천체물리학연구소, 독일 막스플랑크전파천문학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은 M87* 블랙홀의 그림자와 제트를 최초로 동시에 포착해 ‘네이처’ 4월 26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6-023-05843-w 이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식품 보조제로 많이 쓰입니다. 그런데 그 맛은 악평이 자자합니다. 실제로 이날 만든 과학동아 쿠키도 눅눅하고 질겅질겅한 것이, 고무를 씹는 느낌이 났습니다. 퓌레, 무스케이크, 피자반죽류 음식에 특화돼 노즐을 통해 나오는 재료를 한 층 한 층 쌓아 만드는 방식은 3D 프린터의 가장 대중적인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NASA 대신 화성을 테라포밍함, TERRAFOMERS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동굴을 보존할 수도 있죠. 여러분의 선택에 화성의 미래가 달려있습니다. 테라포머스는 과학적 사실과 SF적 상상력, 테라포밍의 윤리에 관한 고민까지 다층적으로 담아낸 게임이라는 것이 제 감상입니다. 탐험이 정복과 착취와 동의어였던 시절에서 우리는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을까요. 테라포밍이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달 천문대에서 은하를 보는 날이 온다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되도록 노력하는 커뮤니케이터, 그리고 천문학자가 되고 싶습니다. Q. 은하를 사랑하는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지난 6개월 동안 ‘최애 은하’ 시리즈를 아껴주신 독자 분들, 그리고 앞으로 이어질 이야기를 읽어주실 모든 분들의 심장 속엔 지구를 넘어서 화성, 목성, 명왕성을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인간처럼 계산하는 바이오컴퓨터를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바야흐로 뇌과학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선웅 고려대 의대 교수. 신경발생학 분야를 연구하며, 특히 뇌 오가노이드를 만드는데 관심있다. 저서로 '나는 뇌를 만들고 싶다'가 있다. woongsun@korea.ac ...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 편집자 주 이그노벨상. 괴짜들의 노벨상이라 불리며 “다시 할 수도 없고 다시 해서도 안되는 업적”에 수여되는 상으로 불립니다. 매년 듣기만 해도 웃음이 터져 ... 영상을 보다 보면, 필자처럼 생각하게 될지도 모른다. 피치보다 더 끈끈한 것은 어쩌면 과학자들의 끈기일 거라고 ... ...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제거 혹은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남대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은 대기 중의 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바꾸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전기 에너지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 ...
이전848586878889909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