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융복합@파트너] 지속
가능
한 태양광 해수 담수화 친환경 수자원 만든다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이유를 이렇게 말한다.“지금 이 순간에도 물 부족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지속
가능
하면서도 우리 눈앞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리와 같은 연구자들이 해야 할 일입니다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등을 꾸밀 때 활용할 수 있어요. 심지어 이 스티커는 물을 묻혀 살살 떼어내면 재활용도
가능
하답니다! 추천! 동아사이언스 영상 추천 여러분이 즐겨보는 섭섭박사 실험실 영상엔 사실 수많은 비밀이 담겨 있습니다. 보는 사람은 그저 짜릿하고 즐거운 과학 실험이지만, 과학기자들에게는 말 못 한 ... ...
수수X케키와 함께 닥터 퍼즐러를 구출하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3호
퍼즐 박사 ‘닥터 퍼즐러’가 사라졌다! 평소 닥터 퍼즐러가 만든 퍼즐을 열광적으로 좋아했던 초등학생 수수와 케키는 박사의 행방불명 소식을 ... 닥터 퍼즐러의 세계 Part2. 두 번째 방_수상한 잡동사니방Part3. 세 번째 방_이게 된다고? 불
가능
한 방Part4. 방탈출! 퍼즐이 보여주는 놀라운 ... ...
세 번째 방_이게 된다고? 불
가능
한 방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3호
보이게 했다가, 다시 각도를 틀어 높이가 같아 보이게 만든 거지요. 원반 모두 옮기기,
가능
할까? 아래의 원반 세 개는 ‘하노이의 탑’이라고 불리는 퍼즐이에요. 프랑스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가 1883년 처음 세상에 알렸지요. 한 막대에 꽂힌 여러 개의 원반을 모두 다른 막대로 옮겨야 하는 ... ...
[2022 필즈상 예측] 확률론계의 모차르트, 기호 4 위고 뒤미닐-코팽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코팽 교수의 연구를 수학자뿐 아니라 물리학자들도 높게 평가하고 있어 필즈상 수상
가능
성이 높다”고 밝혔어요. 스승에 이어 제자도 필즈상 수상자가 될 수 있을지 그 결과가 궁금합니다. ※ 편집자 주2022년 7월 6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ICM) 개막식에서 만 40세 ... ...
[이달의 아이템] 봄 나들이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동력이 차단되는 ‘유압식 디스크 브레이크 전원 차단 센서’ 를 도입해 안전한 주행이
가능
하다. 물론 더욱 더 안전한 주행을 위해 헬멧 등 안전장비는 필수다. 5.에이클로젯 (룩코 / 무료)봄 나들이를 나서기 전, 옷장 앞에서 망설이는 이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앱)도 있다. AI 기술을 이용해 내가 ... ...
[과학뉴스] 전 세계 빙하, 예측보다 20% 적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존재하는 빙하가 기존 예측보다 훨씬 적을
가능
성이 제기됐다.프랑스 환경지질학연구소(IGE)와 미국 다트머스대 국제공동연구팀은 전 세계에 분포하는 빙하의 움직임과 두께를 측정해 분석한 결과 전체가 녹았을 때 상승하는 해수면의 높이가 종전에 예측한 값보다 20%가량 낮다고 예측해 2월 7일 ... ...
[서펑] 유전자 편집 기술의 중심에 선 과학자 '제니퍼 다우드나'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관련한 수많은 과학자가 한 데 담긴 데엔 다우드나 교수의 개인적 경험이 작용했을
가능
성이 있다. 다우드나 교수는 어린 시절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과학자 제임스 왓슨의 책 ‘이중나선’을 보며 과학의 세계에 입문했다. 이 책에서 그가 주목한 인물은 왓슨이 아닌 로절린드 프랭클린이었다. ... ...
[SF소설] 내 몰리나의 신경망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팔을 찌르려고 한 걸 파악한 게 틀림없었다. 확실히 여기서 자살 같은 선택을 하는 건 불
가능
했다. 다만, 이번에는 어떤 동요도 없었다. 집의 공기도 습도도 그대로였다. 그러나 내가 한 행동은 분명 이상행동이었다. 인공지능의 예측 범위 안에 있던 이상행동이었겠지만. 방금 내가 한 행동을 남자는 ... ...
[이달의 기후위기] 여름철 고수온 영향 남해안 멸치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2000~3000원 올랐다”고 말했다. 남해에서 멸치가 사라진 이유는 수온변화 때문일
가능
성이 크다. 해양수산부는 2월 7일 보도자료를 통해 “주산란기인 7~8월 기간에 남, 서해 연안 고수온의 영향으로 어린 멸치의 성장이 정체되고 초기 생존율도 낮아져 어군이 순조롭게 형성되지 않았다”고 ... ...
이전
84
85
86
87
88
89
90
91
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