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의대수
대수
뉴스
"
일의
"(으)로 총 52,647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 '매직넘버' 이론 뒤흔든 산소 동위원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일본 도쿄공대 연구팀이 발견한 산소동위원소는 기존 물리학에 통용되던 '매직넘버' 법칙에 들어맞지 않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일본 과학자들이 중이온가속기(RIBF)를 사용해 이론상으로만 존재했던 산소 동위원소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새롭게 만들어낸 동위원소는 그간 학계에서 통용되 ... ...
LK-99 국내 재현 결과…"4개 실험에서 초전도 특성 나타나지 않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한국 연구팀이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상온 초전도체 'LK-99'. 연합뉴스 제공. 한국초전도저온학회 LK-99 검증위원회는 국내 연구소 네 곳에서 이뤄진 'LK-99' 재현실험 결과 초전도 특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나오지 않았다고 31일 밝혔다. 검증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재현실험에는 서울대 복합물질상태연 ... ...
코로나19 4급 감염병 전환…백신 접종해야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국내 코로나19 동절기 백신 접종이 10월 시작될 예정이다. Anurak Sirithep/게티이미지뱅크 제공. 31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은 독감(인플루엔자)과 동일한 4급 법정감염병이다. 앞으로 코로나19 백신은 독감 백신처럼 연 1회 접종을 시행한다. 감염병 등급이 전환되면서 코 ... ...
수 분 걸리던 의료진단기기 결함 찾기, AI 접목했더니 3초 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결함검사 플랫폼 기술’을 개발한 연구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수 분이 소요되는 결함검사를 3∼5초로 단축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플랫폼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윤종필 수석연구원이 AI 기술을 활용한 '결함검사 플랫폼 기술'을 바탕으 ... ...
독일 '트러플 멧돼지', 60년 전 핵실험 여파로 방사능물질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독일 바이에른 지역 숲 속에서 사는 멧돼지들이 풀을 뜯고 있다. 위키미디어 제공 독일 바이에른 주 숲속에 서식하는 멧돼지들이 기준치를 뛰어넘는 수준의 방사능에 오염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바이에른 주에서 약 1986km 떨어진 체르노빌 원자로에서 1960년대 초반 이뤄진 핵실험의 영향이 오늘 ... ...
정부 "오염수→처리수 변경, 당장 바꾸겠다는 것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한덕수 총리는 30일 오염수 용어 변경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제공 한덕수 총리가 30일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의 공식 명칭을 '처리수'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 정부는 "당장 바꾸겠다는 취지는 아니다"라는 입장을 내놨다. 박구연 국무조정 ... ...
IBS, 생명과학 클러스터 내 신규 연구단장 2인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왼쪽부터 기초과학연구원(IBS) 강봉균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신임 공동단장, 구본경 유전체 교정 연구단 신임 단장.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IBS 본원 생명과학 연구클러스터 내 신규 연구단장 2명을 새롭게 선임했다고 31일 밝혔다. 구본경 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 부연구단장은 유전체 교정 ... ...
땅속 '무선통신' 길 열었다…"매몰 시 생존 여부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ETRI 연구진이 자기장 기반 광산 지중 무선통신 수신시스템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있다. ETRI 제공. 지상통신을 넘어 지중(땅속)통신이 가능한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국내 연구진이 지중에서의 무선통신 가능성을 확인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ETRI 연구진이 광산 지중 40m 거리에서 1m 직 ... ...
무서운 태풍 분석 가능해질까…'와류' 존재 수학적 증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구형 와류의 존재를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와류(Vortex)의 존재가 수학적으로 증명됐다. 태풍·토네이도 등의 와류 현상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최규동 수리과학과 교수가 둥근 공 모양의 '와류'가 안정적인 상태로 존재한다는 것 ... ...
[과기원NOW] KAIST, AI 활용한 시각 영상 작품 '서브웨이 시냅스' 광화문 전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31
서브웨이 시냅스의 한 장면. KAIST 제공 ■ KAIST는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시각 영상 작품을 내달 1일부터 2달 간 광화문 광장 해치마당에서 전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창희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연구팀이 제작한 '서브웨이 시냅스'는 서울의 지하철이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인간의 신경세포를 연결 ... ...
이전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
8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