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문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호주 페어익스는 독자를 대상으로 일부 모바일상용서비스를
시작
했다. 올 상반기
시작
된 위성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이나 지상파DMB, 와이브로는 이 같은 모바일 신문의 실현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흔히 전자종이로 불리는 E-페이퍼는 휴대하기 간편한 크기와 두께의 디스플레이에 통신 기능을 ... ...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수용체에 결합하면 후각상피에서 나온 신경망을 타고 후각망울로 전기신호가 전달되기
시작
한다. 이 신호가 뇌의 냄새 맡는 중추로 전달돼 어떤 냄새인지를 알아낸다.뇌가 많은 종류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다. 1991년 미국 컬럼비아대 리차드 액설 교수와 ... ...
"세상에서 제일 잘 튀는 공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모든 물체는 부서지고 끊기는 ‘항복점’이란 것이 있는데 고무는 이 항복점이 탄성이
시작
되는 지점과 무지 멀리 떨어져있어. 고무가 웬만해서는 끊어지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지. 비록 공을 만들지는 않았지만 탄성의 원리를 잘 이해하고 요요를 응용할 생각을 한이소라 친구,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가장 조밀하게 보존된 지역으로 손꼽힌다.공룡 발자국 연구는 경상남도의 한 바닷가에서
시작
됐다. 경상남도 고성군 덕명리 바닷가는 넓은 퇴적암반과 깎아지른 듯한 절벽으로 유명하다. 1982년 겨울방학을 이용해 학생들과 남해안 일대의 지질조사에 나섰던 경북대 양승영 교수는 해안을 따라 나 ... ...
4. 익룡은 네 발로 걸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1860년 쥐라기 후기 지층에서 처음 보고됐다. 1950년 이후 서서히 익룡 발자국 연구가
시작
돼 실질적인 연구는 1990년 이후부터 제법 활발해졌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익룡 발자국 연구는 초보 단계에 지나지 않는다.익룡의 앞발이 땅에 찍힐 때는 아주 다양한 모양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초승달 ... ...
허풍을 마시는 음료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교수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라이너스 폴링 교수로부터 비타민C ‘신봉론’이
시작
됐다”고 말했다. 폴링 교수는 비타민C가 감기에 효과가 있고 많이 섭취할수록 좋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난 5월 국내 대한의학회와 대한의사협회에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실제로 비타민C는 감기에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월 9일 새벽 월드컵 최종 예선 쿠웨이트전 승전보로 붉은 악마의 열정과 함성이 다시
시작
되고 있다. 독일월드컵이 펼쳐지는 2006년 6월, 거리는 붉은 열정과 함성으로 가득찰 것이다. 온 나라가 붉은 힘 속으로 빨려 들어갈 것이다. 그 옛날 중국 황제의 복장에서 붉은 악마의 유니폼에 이르기까지 ... ...
공학에 한번 빠져 봅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인간의 동반자인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소개한다. 여종기 LG화학 사장은 “일단
시작
하면 재미와 보람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고 미래의 공학도를 격려한다. 이밖에도 양흥준 LG생명과학 사장, 김동진 현대자동차 사장, 송문섭 팬택앤큐리텔 사장, 정윤찬 영국 사우스햄턴대 박사, 장문석 IBM본사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주인 역할은 포유류가 맡았다. 포유류는 이미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
했다.주인이 사라진 땅에 남은 것들초기 쥐라기 지층에서 발견된 모르가누코톤은 젖을 빤 흔적이 있었고 온몸이 털로 덮인 쥐처럼 생긴 작은 포유류였다. 이들은 거대 동물인 공룡에 쫓겨 생존에 급급할 ... ...
우주에 아리랑 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있다. 아리랑 2호의 뒤를 이을 아리랑 3호(2009년)와 아리랑 5호(2008년)도 개발되기
시작
했다.이제 한국 우주센터에서 한국 발사체에 한국 위성을 싣고 우주를 향할 날이 머지않았다. 지금 한국은 우주 기술의 ‘메이드 인 코리아’를 위해 무한질주 중이다. 한국 위성의 과거, 현재 그리고 ... ...
이전
883
884
885
886
887
888
889
890
8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