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윙' 날개소리는 모기의 구애법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있는지 연구했다. 그 결과 암컷과 수컷 모기는 서로 날개소리를 맞춰 짝을 찾는다는
사실
이 밝혀졌다.일반적으로 수컷 모기는 암컷 모기보다 높은 진동수의 날개소리를 낸다. 그런데 짝짓기를 원하면 수컷은 날개를 천천히 움직여 날개소리의 진동수를 낮춘다. 한편 이 소리를 들은 암컷은 날개를 더 ... ...
1. TV는 미래를 싣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계속 확대 재생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인간이 지구 주변에서 현재 일어나고 있는
사실
을 보고 느끼고 싶어 하는 한(뉴스, 정보 프로그램), 있을 수 있고 있을 법한, 그리고 나에게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기를 기대하는 수많은 인간관계의 가능성을 눈으로 보고 느끼고 싶어 하는 한(드라마, 오락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TV를 즐길 수 있다. 벽면 전체를 덮는 초대형 플렉서블 벽걸이 TV를 상상해 보라.분명한
사실
은 과거에 상상했던 기술이 생각보다 빠르게 우리 곁에 다가왔듯, 오늘날 꿈꾸는 기술이 미래엔 자연스런 일상이 될 수 있다. 인간의 시각(視覺)이 존재하는 한 TV의 변신은 현재 진행형으로, 그 진화의 핵심은 ... ...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하지만 인디카 계통에 속하는 이 쌀은 세계 생산량의 90%를 차지하는 무시 못 할 쌀이다.
사실
우리가 밥맛을 따지기 시작한 것은 불과 20년 밖에 되지 않는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이후 ‘보릿고개’를 넘기기 위해 맛이야 어찌됐건 수확량이 많은 ‘통일벼’로 배를 채워야 했다. 점차 나아진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먹이가 부족환 환경이므로 표층이나 연안에 비해 생물의 숫자가 많지 않은 것이
사실
이다.챌린저 탐사 이후 심해 탐사가 줄을 이었다. 1950~1952년 수행된 덴마크의 갈라테아호 탐사로 수심 1만m가 넘는 마리아나 해구에도 말미잘이나 해삼 같은 바다생물이 살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한편 미국의 ... ...
챌린저호 폭발 원인은 통계의 오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참사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일까. 성급함 때문에 충분히 보고 알 수 있는
사실
마저 간과해버리고 말았다는 점이다. 통계학에서 ‘표본 선택 편의’(sample selection bias)는 이와 같은 실수를 말한다. 즉 ‘표본 선택 편의’는 전체를 아우르지 못하는 표본을 선정해 발생하는 잘못된 결과를 ... ...
녹지 않는 초콜릿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녹기 때문이다. 그런데 연구진은 옥수수녹말이 코코아 버터가 녹는 것을 막는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연구팀은 “옥수수 녹말을 10%정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며 “이렇게 만들어진 초콜릿은 더운 날씨에도 잘 녹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밀크 초콜릿과 색이나 맛이 비슷하다”고 밝혔다 ... ...
고흐 그림에 유체역학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결과 두 점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D가 커질수록) 두 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이 감소한다는
사실
이 밝혀졌다. 특히 두 점의 밝기가 같을 확률은 두 점 사이 거리(D)의 거듭제곱으로 줄어들었다. 이것은 난류를 다루는 유체역학의 대표법칙인 ‘콜모고로프 척도’(Kolmogorov scaling)와 일치한다.콜모고로프 ... ...
식중독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법이 개발되기 전인 1993년 캐나다 웨스턴 주에서는 O157균의 전염
사실
을 39일이 지난 다음에야 감지했고, 오염원이 쇠고기라는 것을 알아낸 것은 그로부터 약 10일이 더 지난 뒤였다. 결국 71일이 지난 다음에야 더 이상 질병이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반면 2002년 콜로라도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 있다. 수중에 발진구를 설치할 경우 출입문이 열리면 물이 기지 안으로 들어온다는
사실
이 문제다. 또 지하가 아닌 깊은 바다 한가운데 미리 제작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연결해 대형 수중기지를 건설하는 방법도 매우 어렵겠지만 생각해 볼 수 있다.마징가Z처럼 물이 가득 찬 풀(pool) 아래에 기지를 ... ...
이전
880
881
882
883
884
885
886
887
8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