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지구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면서 인간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권은
바로
해양이다. ‘해양’ 하면 눈으로 쉽게 볼 수 있는 바다 표면만을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실제 해양의 대부분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깊은 바다, 즉 심해로 이뤄져 있다. 해양 표면층과 대륙붕 지역을 ... ...
지식정보사회에 필요한 능력 어떻게 키울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그러다 우연히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좋을지를 소개한 사이트를 찾는다. 그곳은
바로
‘제4회 컴퓨터창의성대회’ 홈페이지였다.여기에는 문제해결방법이 몇가지 소개돼 있었다. 만득이는 자신감을 갖고 다시 학교 과제물을 쳐다보았다. 그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를 곰곰이 ... ...
디지털 저작권 지키는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불러온 후 워터마크 삽입을 위해 필요한 정보(암호키)와 워터마크 파일을 입력하면 곧
바로
워터마크가 암호화돼 삽입된 결과 화면을 볼 수 있다. 삽입된 워터마크를 확인하고 싶은가.역시 같은 방법으로 삽입할 때 사용했던 암호키를 입력하면 추출된 워터마크를 확인할 수 있다. 워터마킹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다차원 진동분광학이지만 그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또다른 문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단백질 접힘현상(protein folding). 신기하게도 단백질은 1차원적으로 배열돼 있던 아미노산들이 절묘하게 접혀지면서 독특한 구조와 기능을 만들어낸다. 만약 1차원의 아미노산들이 어떻게 접히면서 3차원적인 구조를 ... ...
미술작품 도난범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닌히드린 시약을 사용한 액체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이번 어드벤처에서 쓴 방법이
바로
닌히드린 시약을 사용한 액체법이다. 어떻게 종이에 찍은 손바닥의 지문이 남보라색으로 변할까. 닌히드린은 아미노산의 중성용액과 만나면 아미노기의 작용에 의해서 닌히드린 두분자가 결합해 아미노산 ... ...
'아프리카 기원설' 손들어준 Y 염색체 연구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다지역 기원설’과 아프리카에서 그 시조가 발견된다는 ‘아프리카 기원설’이
바로
그것. 이 두가지 가설은 현재 치열한 논쟁을 벌이고 있다. 그 결과는 제1라운드 무승부, 제2라운드는 아프리카설 우세로 끝났다.제3라운드는 올 초 호주의 ‘뭉고인’ 화석 증거를 근거로 다지역 기원설에서 ... ...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율 OECD 1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선진국 전체의 48%에 이르는 미국이 빠진 교토의정서가 무슨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곧
바로
전세계 대다수의 국가들은 강력하게 미국을 비난하고 나섰다.비난받을 것을 뻔히 알면서도 탈퇴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미국의 속사정을 들여다보자. 사실 현재 상황에서 미국이 교토의정서를 이행하기는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넘는다.극관과 먼지폭풍 스케치화성 표면의 지형이나 변화를 포착하는데 손쉬운 방법이
바로
스케치다. 화성을 스케치하려면, 지름 5cm 정도의 원이 그려진 관측용지를 미리 준비하는 것이 편리하다. 먼저 시야에 들어온 화성표면을 전체적으로 묘사하고, 특이한 현상이 보이면 시간을 측정함과 ... ...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있다.터치스크린화면 위에 손이나 펜으로 접촉하면 접촉지점을 감지해 반응하는 장치가
바로
터치 스크린이다. 터치스크린 센서는 전기용량, 저항, 적외선, 초음파, 장력 등을 이용한다. 이 가운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이 사람의 전기용량을 이용한 접촉식과 저항막을 이용한 저항막식이다 ... ...
신약개발에 공헌하는 '빛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받았다. 그는 “자신은 완전 공학자도 순수 물리학자도 아니다. 그런데 이것이
바로
가속기개발의 원동력이었던 것 같다”고 말한다. 가만히 책상에만 앉아서 자신의 분야라고만 생각하는 연구에 몰두했다면 결코 가속기 건설에서 큰 몫을 수행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의미다.요즘 조교수는 ... ...
이전
878
879
880
881
882
883
884
885
8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