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연구"(으)로 총 9,98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4년 아이슬란드 화산피해 줄인 일등공신은 ‘빙하’동아사이언스 l2016.07.17
- 화산재 폭발이 아닌 수증기 폭발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피해가 저감될 수 있었다는 것이 연구진의 분석이다. 거드먼슨 교수는 “만약 빙하 층이 없었다면 바우르다르붕가 폭발 시 발생 할 수 있는 화산재의 양은 2㎦로 아이슬란드의 재앙으로 꼽히는 에이야프얄라요쿨 폭발 당시 보다 10배에 ... ...
- 미래 신소재 그래핀 자유자재로 접는 방법 찾았다2016.07.17
- 성공했다. 단백질이나 유전자에서 흔히 보던 구조를 그래핀으로 만든 셈이다. 연구팀은 “복잡한 조건이 필요없고 상온에서도 만들 수 있는 구조라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우상 기자 idol@donga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토편] 주말도 마다않는 열혈 멘토, 이준석 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16.07.15
- 것에 자부심을 가지고 좀 더 나은 멘토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석 멘토, 2014년 창조경제타운 우수멘토 선정 - 창조경제타운 제공 *본 콘텐츠는 창조경제타운(www.creativekorea.or.kr)의 3주년 기념 기획 인터뷰, 에서 발췌했습니다. 원문은 다음 ... ...
- VR, 경험의 시대를 이끌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아니다. 이미 1960년대부터 군사, 항공우주 등 여러 분야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한 장치로 연구개발이 이뤄졌고 민간에선 이른바 '덕후' 층이 두터운 게임 분야에서 더욱 실제 같은 느낌의 사용자 경험(UX)을 제공하기 위해 적용돼 왔다. 플랫폼 격인 헤드셋(HMD), 카메라, 소프트웨어, 입출력장치, PC ... ...
- 정신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원인이 되기는 어렵다. 지금도 수많은 의사와 과학자들이 엄청난 시간과 비용을 들여 연구하고 있지만, 정신장애의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연하다는 듯이 정신장애는 유전의 산물 혹은 양육의 결과라며 간단하게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는 ‘정신병은 ... ...
- 여성의 입장으로 과학을 전달하겠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올라와 있습니다. 그런데도 아직 이공계 교수는 80% 이상이 남성입니다. 일반 사기업 연구소도 다르지 않죠. 이러한 문제를 향후 여성과학기술계에서 풀어야 합니다. 물론 육아, 성차별 등과 관련해 여성을 위한 사회적 제도도 더욱 잘 만들어져야 합니다. 그리고 그런 것들과 함께 우리도 스스로 ... ...
- ‘국민연금’ 경력단절여성(경단녀)도 추후납부제도 활용할 수 있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2016년 11월부터 출산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 두면서 국민연금 납부를 중단했던 경력 ... 아름다운 황혼을 이끌 보물 상자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안태관 미래에셋은퇴연구소 선임연구 ... ...
- 여성이 관계할 때 흥분한 연기를 하는 이유는?2016.07.12
- sex-43719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한 주를 건강하게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되었나』( ...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동아사이언스 l2016.07.10
- % 수준으로, 지금까지 개발된 바이오하이브리드 로봇 중에서는 성능이 가장 뛰어나다. 박 연구원은 “가오리 로봇은 향후 인공심장과 인공생명체 등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 활성을 띤 머리 부분에 왼쪽과 오른쪽 2개로 구분한 광 자극의 주파수를 각각 1.5㎐, 3㎐처럼 서로 ... ...
이전8778788798808818828838848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