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뉴스
"
국제
"(으)로 총 18,22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더 작게 더 빽빽하게' 반도체 집적기술은 지금도 '진화중'
과학동아
l
2021.07.24
말했다. 이처럼 TSV와 M3D 모두 풀어야 할 문제가 있는 가운데, 6월 7일 아시아 최대
국제
정보통신기술 박람회에서 놀라운 소식이 들려왔다. 미국의 반도체 설계 기업 AMD가 ‘3D 브이캐시(3D V-Cache)’란 기술을 발표했다. TSV처럼 별도의 반도체를 쌓으면서도, M3D처럼 접점이 많아 기존 두 기술의 장점만 ... ...
구글 딥마인드AI, 인간 단백질 2만개 구조 모두 예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권위자인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와 백민경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15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단백질 간의 결합 형태까지 예측할 수 있는 AI 프로그램 ‘로제타폴드’를 공개했다. 단백질은 다른 단백질들과 결합하며 생체의 기능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결합 형태도 중요한 요소 ... ...
[우주산업 리포트]"더 정밀한 PNT 정보를 선점하라" GNSS에 도전하는 기업들
2021.07.23
입사해 사회부, 정치부, 경제부를 거쳐 디지털뉴스팀장을 지냈다. 한국기자협회
국제
교류분과위원장을 지냈고 올초 미국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 뉴스에 합류해 서울 특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
사회적 학습으로 쓰레기통 덮개 무력화한 똑똑한 큰유황앵무
연합뉴스
l
2021.07.23
기관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동물행동연구소의 루시 애플린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쓰레기통을 뒤지는 큰유황앵무의 독특한 행동이 유전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학습의 산물이라는 점을 처음으로 입증하는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수년 전 ... ...
최준일 KAIST 교수, IEEE 닐 세퍼드 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닐 세퍼드 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 닐 세퍼드 상은 이동체와 이동통신 분야
국제
학술지 ‘IEEE 이동기술 분과 저널’에 출판된 지난 5년간 통신 채널 관련 논문 중 가장 우수한 논문에 주는 상이다. 최 교수는 2015년 IEEE 신호처리 학술회에서, 2019년 IEEE 통신 학술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받은 바 ... ...
지구 밖 첫 지진파 연구로 화성 내부 구조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보내온 화성 지진파 기록을 분석해 화성의 구조를 세밀하게 밝힌 연구 논문 3편을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23일 공개했다. 지각 운동으로 발생한 지진파는 통과하는 물체의 밀도에 따라 속도가 달라진다. 지질학자들은 이 원리를 이용해 지구 내부 구조와 이를 이루는 물질의 종류와 위치를 ... ...
[과학게시판] 연세대-삼성바이오에피스, 인력양성 산학협력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 김철홍 포스텍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제
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에서 수여하는 2020 우수 논문상을 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연구팀은 생체 내 적혈구를 이용해 초해상도를 구현하는 국지화 광음향 현미경에 대해 발표한 2019년 논문으로 우수 논문상을 ... ...
[의학바이오게시판] 하재인 고려대 의대생 SCI급 논문7편 출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의대 제공 ■고려대 의대는 22일 하재인 의학과 4학년생이 과학기술인용색인(SCI)급
국제
학술지에 비만대사질환 논문 7편을 제1저자로 게재했다고 밝혔다. 졸업논문을 위한 연구가 필수가 아닌 의대생으로는 이례적 성과다. 하재인 학생은 “학생의 아이디어에 항상 귀 기울이고 조언을 아끼지 않은 ... ...
"수소연료 저장 최적 물질 찾아낼 평가 장치 개발"
연합뉴스
l
2021.07.22
독일 산학연 컨소시엄 구축을 기획 중"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
저널인 '에너지 컨버전 앤드 매니지먼트'(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최신 호에 게재됐다. [KIST 제공] ... ...
델타 변이 전파력 강한 이유 “잠복기 짧고 바이러스량 1000배 이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7.22
추가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다. 미국 워싱턴대 연구진은 지난 4월
국제
학술지 ‘셀’에 델타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 말단 부위가 바뀌면서 항체 공격을 무력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지난 20일(현지시간) 델타 변이 감염자 비율이 83 ... ...
이전
876
877
878
879
880
881
882
883
8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