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수학동아 l2015년 03호
- 걸려 있었다. 매우 오래 돼 퇴색되긴 했지만, 내용을 알아보기에는 충분했다. 이것은 168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지금 있는 산가쿠 중에서 가장 오래 됐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곳에서 만난 다른 이는 가장 오래된 산가쿠가 아니라고 하니 추후 좀 더 알아볼 일이다.이제 새로운 산가쿠를 찾아 ... ...
- 나는 수학자다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5년 03호
-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만약 그가 더 오래 살았다면 약 20년간 연구했던 리만 가설과 1940년대 꿈꾸었던 인공지능 연구가 좀 더 진전되지 않았을까. 아마 그랬다면 우리는 또 다른 세상에서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게 뭐가 좋을까. 가장 큰 장점은 ‘사용자 맞춤형’이라는 점이다. 유치부와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은 손크기가 두 배 이상 달라 교구도 다른 크기가 필요하다. 특히 교사가 가르치기 편한 교구가 교육에도 효과적인데, 3D 프린터를 이용하면 교사의 요청에 따라 자유자재로 교재를 만들 수 있다. ... ...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공부를 한 탓도 있겠지만 영어 탓이 가장 컸다. 공대에 영어강의가 본격화된 건 2007년이다. 대학의 세계화를 지향하면서 대학 평가 기준에 영어 강의 비중이 포함되면서부터다. 기자가 공대를 다니던 때(2005~2009년)에도 영어 강의가 존재는 했다. 교과서가 일단 원서고 강의 자료 또한 모두 영문이다 ... ...
- [이달의 사물] 구글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민간기업이 돈을 달에 퍼부을 리가 없다.구글엑스프라이즈(X PRIZE)라는 이 경진대회는 2007년 시작됐다. 대회 요강은 간단하다. 어떤 로봇이 달에 가서 500m 이상 이동하고 HDTV급 영상을 지구로 보내면 된다. 영상을 보내는 이유는 진기한 달 풍경을 혼자 즐기지 말고 지구 사람들도 보게 하자는 공익적 ... ...
- [과학뉴스] 황우석․미탈리포프, 중국과 손잡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넣어 체외 수정을 하는 시술법이다. 2012년에는 연구 대상을 사람으로 넓히고, 2015년까지 누구나 이 방법을 통해 건강한 아이를 가질 수 있게 하겠다고 호언장담했다. 하지만 미국 내의 강력한 규제 때문에 연구가 벽에 부딪히자 해외로 눈을 돌렸다. 줄기세포를 국가 중점사업으로 지정하고 윤리적인 ... ...
- [과학뉴스] 4만 년 전 인류, 예술로 소통해요~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지난해 ‘사이언스’ 선정 10대 과학뉴스로 이름을 올린 소식 중에 예술 분야가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동굴벽화의 연대를 새로 측정했는데, 지금껏 ‘예술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던 유럽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앞선 것으로 나왔다. 유럽과 동남아시아인들이 비행기를 타거나 SNS로 교류했 ... ...
- [과학뉴스] “여기는 탐사선 던, 소행성 세레스 14만 km까지 접근 중”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공개했다. 지금까지 얻은 가장 선명한 영상으로 크레이터가 보이기 시작했다. 던은 2007년 9월 발사된 무인 과학탐사선이다. 2011년 7월, 1차 임무로 소행성 ‘베스타(지름 525km)’의 주위를 공전하며 과학 탐사를 한 뒤, 14개월 뒤인 2012년 9월부터 2차 임무 목적지인 세레스를 향했다. 2월 15일에는 . ...
- [Hot Issue]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미국지진과학연구소 윌리엄 엘스워스 연구원은 미국 중․동부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규모3 이상 지진이 300회나 발생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전보다 5배나 늘어난 수치다. 윌리엄 박사는 지진다발지역에 공통적으로 셰일가스 시추정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사이언스’ 201 ... ...
- [Knowledge] 달리기 명수 타조공룡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전체 골격이 발견되지 않아 궁금증을 더해왔다.이 관장이 이끄는 국제공룡탐사팀은 2006년과 2009년, 몽골에서 각각 데이노케이루스의 화석을 찾았다. 하나는 성체였고, 다른 하나는 크기가 성체의 74%인 어린 개체였다. 먼저 데이노케이루스임을 확인한 것은 부긴자프에서 찾은 2009년 화석이었다. ... ...
이전8768778788798808818828838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