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스페셜
"
기능
"(으)로 총 1,67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앞선 코로나19 英·中 백신 후보 2상까지 안전성·항체 형성 확인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체액성 면역이라고 한다. 연구팀은 “ChAdOx1 nCoV-19가 안전하고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
기능
을 모두 지녔음을 확인했다”며 “현재 진행 중인 임상 3상을 통해 대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 내렸다. 국내에서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이 백신 후보물질을 위탁생산(CMO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것들은 모두 LCYB 유전자가 변이형인 반면 노란색인 20가지와 주황색인 14가지 모두
기능
을 하는 야생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쓴맛은 완전히 사라져 야생 수박의 속은 흰색이다. 야생종과 교배를 통해 얻은 속이 흰 수박(WfWfBB)과 속이 빨간 수박(wfwfbb)을 교배하면 1세대는 모두 속이 흰 수박(WfwfBb)이 ... ...
ETRI, AI 음향인식 기술 국제대회서 1위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수준을 목표로 연구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신체
기능
의 이상이나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휴먼 청각 및 근력 증강 원천기술 개발’ 과제로 진행됐다. 관련 기술에 대해 2017년부터 국내외 특허 17건을 출원하고 논문 11건을 발표했다. 김흥묵 ETRI ... ...
[표지로 읽는 과학]나이를 먹으며 바뀌는 뇌 시냅스의 복잡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9
여러 종류의 시냅스 접착 단백질들이 그동안 확인됐지만 각 단백질의 생체 내
기능
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연구팀은 시냅스에 대한 비밀을 풀기 위해 ‘시냅톰 매핑’이라는 기술을 이용해 쥐의 뇌 속 시냅스지도를 그렸다. 시냅톰 매핑은 시냅스의 활동성을 보여주는 기술로 지난 201 ... ...
[과학게시판] KIOST-한국야쿠르트 해양미세조류 유래 추출물 MOU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18
15일 부산 영도구 본원에서 한국야쿠르트와 해양미세조류 유래 추출물을 활용한 인지
기능
개선 소재 산업화의 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양 기관은 공동연구 협력과 인프라 공동 협력, 활용 및 인적 교류 등에서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동물행동학자에서 과학행정가로 변신한 후베르트 마르클
2020.07.16
연구소의 총재가 되었고, 통일 이후 위태로울 수도 있었던 막스플랑크의 역할과
기능
을 조율해낸 과학자이자 과학행정가다. 동물학자에서 과학행정가로 후베르트 마르클의 이력에서 가장 특이한 점은 과학기술정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미국의 배너바 부시나 한국의 최형섭처럼 공학자가 ... ...
코로나19,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일반 건강 설문지는 우울감과 현재의 행복감 정도를 측정하는 일반적 설문지로 정상적인
기능
수행의 어려움과 괴로움 등 12개 측정 항목을 가지고 있다. 외로움은 지난 4주간 얼마나 외로움을 느꼈는 지를 질문해 평가했다. 연구는 영국에서 약 2만3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4월에 진행됐다. 연구 ... ...
[프리미엄 리포트]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07.11
건 아니지만, 숙주인 세균이 바이러스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복제하도록 유도하는
기능
을 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본래 정해져 있는 상식을 깨부수는 것이 파급력이 있듯, 기존 생물 분류의 관념을 깨는 바이러스 연구 결과들이 계속해서 주목받고 있다. 아직 바이러스가 생물이란 걸 인정받진 ... ...
어린이 코로나19 중증 적은 이유는…폐 생리·면역
기능
차이
연합뉴스
l
2020.07.10
'안지오텐신 전환효소2'(ACE2)가 어른보다 적고 염증과 싸우는 T세포가 많아 면역
기능
도 다르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중증 환자 중 어린이가 적은 이유를 밝히는 것은 코로나19에 대한 주요 연구 주제 중 하나다. 그 이유를 밝히면 코로나19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은 물론 예방·치료법 개발에도 ... ...
눈에 착용했더니 "당신의 스트레스는 20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0
전자기파는 인체에 무해한 수준이었다. 제작한 렌즈는 보관액에 담아놓기만 하면 형태와
기능
이 그대로 유지됐다. 박 연구위원은 “스트레스 수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일상속 스트레스 관리를 돕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며 “4차산업혁명 시대에 주목받는 모바일 헬스케어뿐 아니라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