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뉴스
"
유리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우주비행사란 직업 없이 누구나 우주 가는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0
기술 등을 가르치고 연구하며 뉴스페이스 시대에 필요한 인재들을 양성하고 있다.
유리
가가린이 1961년 최초로 우주에 간 이후로 1969년 7월 20일 닐 암스트롱이 달을 밟기까지 8년이 걸렸다. 하지만 이후 5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음에도 인류가 다음으로 나아가지는 못했다. 웰치 사무총장은 "미국이 ... ...
[과학게시판] 제1차 한·오스트리아 과학기술 공동위원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7.17
LZH) 본사에서 LZH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제조를 위한 레이저
유리
용접과 수중 레이저 가공 기술 및 시스템 개발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강건용 기계연 부원장과 연구진은 이날 LZH를 방문해 공동 연구개발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 17일에는 레이저 가공기 업체인 ‘트럼프’사를 ... ...
약되는 천연 작물, 스마트팜서 무럭무럭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부작용이 적다. 장기간 쓸 수 있어 예방 차원에서 활용하거나 만성질환을 치료하는 데도
유리
하다. 하지만 치료에 유효한 성분을 확실히 알기 어렵고 생물이다 보니 원료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과학적 연구가 필요한 이유다. 과학자들은 최근 일상에서 흔히 만나는 ... ...
[주말N수학] 실현 가능한 수를 찾아라
2019.07.13
관련기사 수학동아 7월호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실현 가능한 수를 찾아라!
유리
수 지수 추측 ※필자소개 엄상일 교수.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과 KAIST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 ...
초미세 빨대로 미세한 물질 분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잘라내 같은 크기의 구멍을 갖는 나노포어 막을 수백 장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막을
유리
판 끝에 부착한 뒤 용액에 담그고 나노포어에 반복적으로 전기를 흘렸다. 반복적으로 전기를 흘리면 나노포어가 간혹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를 없애 줘 물질 탐지 효율이 높아진다. 실험 결과 기존보다 3배 ... ...
나노부터 매크로까지 고려한 디테일로 최고 효율 태양전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9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용액으로 섞이면 태양전지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 코팅을 한 뒤
유리
또는 플렉서블 기판 위에 400~500나노미터(㎚, 1㎚는 10억분의 1미터) 두께의 박막을 만듭니다.” 멀티스케일 에너지시스템 연구단 소속 장지훈 연구원의 설명이다. 다가오는 미래 화석연료 대체가 가능한 ... ...
당뇨병 합병증 ‘망막병증’ 막을 수 있다...예방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7.08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시료에서 추출한 RBP3를 당뇨병을 앓고 있는 쥐의
유리
체에 주입한 결과 쥐의 눈에서 망막병증의 진행이 멈춘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킹 교수는 "RBP3는 혈당이 높을 때 포도당수용체(GLUT-1)의 작용을 방해해 포도당이 시세포로 들어가는 일을 막는다"며 ... ...
'100m 7초 주파 로봇슈트' 6대 미래기술 개발에 1600억 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7.07
전문가 심의 과정에서 600㎞ 주행에 드는 충전 시간을 5분에서 1분으로 단축했다. 건물
유리
창에서 발전 가능한 고효율 투명 태양전지도 가시광선 투과도와 발전효율 목표를 각각 50%, 15%에서 70%, 12%로 조정했다. 현재의 제조단가를 유지하며 35% 이상의 발전효율을 내는 슈퍼 태양전지와 사람이 ... ...
[주말N수학] 수학자 힐베르트 17번 문제, 자율주행차 안전 문제를 해결하다
수학동아
l
2019.07.06
합 형태로 바꿀 수 있음을 밝힌 겁니다. 하지만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음이 아닌 모든
유리
함수를 언제나 제곱의 합의 꼴로 바꿀 수 있다는 게 자율주행차가 최적의 경로를 찾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요? 최적값 찾아 자율주행차의 판단 돕는다 ...
[인류 달 탐사 50년]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을 안 믿는 사람들에게 (2)
과학동아
l
2019.07.06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렸고, 1961년 4월 12일에는 옛 소련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이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인류 최초로 유인 우주 비행에 성공했다. 1965년에는 옛 소련 우주비행사가 최초로 우주유영을 해냈다. 1966년에는 최초로 무인 우주탐사선인 루나 9호를 달에 연착륙시켰다. 이런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