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뉴스
"
성공
"(으)로 총 10,050건 검색되었습니다.
접착제로도 쓰는 만능 '유기물 유리'…물만 있으면 자가치유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만드는 용액의 양을 간단히 조절하는 것만으로 렌즈의 곡률과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데
성공
했다. 연구팀은 "펩타이드 유리는 기계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며 "재료공학, 광학 및 전자광학 제조 분야, 접착제와 렌즈 제조에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칠레와 리튬 기술협력으로 공급망 다변화 앞당긴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날리다 이색 스포츠 마케터라는 직업을 만들고 창직을 하게 된 연사의 실제
성공
사례가 소개되고 곡예비행 공연도 펼쳐질 예정이다. 권석민 국립중앙과학관 관장은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서 꿈과 열정을 갖고 노력하면 챔피언이 되고 직업까지 가질 수 있다는 희망을 전달하는 계기가 될 것 ... ...
홀로그램 구현해 원자·분자 구조 파악하는 '초고속 카메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험 결과를 이론적으로 분석·검증해 분자 구조를 분석하는 데
성공
했다. 홀로그램 패턴에서 표적 분자의 각 원자핵 사이의 거리와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됐다. 김동언 교수는 "여러 측정이 필요한 이전 방법보다 오히려 간단하다"며 "새로운 ... ...
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
성공
률 높인다…이식세포 사멸 원인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DGIST 학제학과 융합전공 교수. DGIST 제공. 줄기세포 이식
성공
률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규명됐다. 난치성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태완 학제학과 융합전공 교수가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 뇌에 ... ...
中, 12일 푸바오 공개…외교와 멸종 보호 연구 위해 오고가는 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 대해 "푸바오의 부모인 아이바오와 러바오가 쌍둥이를 낳고
성공
적으로 길렀다는 점이 독특한 점이라 그 부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됐을 것"이라고 했다. 푸바오가 중국으로 돌아간 이유도 판다 연구를 위해서다. 성 성숙이 일어나는 만 4살이 되면 종번식을 위해 중국으로 ... ...
ETRI, CDMA 상용화 공로로 IEEE 마일스톤 등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놓고 치열한 기술 경쟁을 벌였지만 한국은 다른 시도를 한 셈이다. 1996년 CDMA 상용화에
성공
한 덕분에 이동통신 분야의 독자 기술 개발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3세대, 4세대, 5세대뿐만 아니라 6세대 이동통신에서도 우리나라가 세계 유수의 국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밑거름이 ... ...
초신성 80개 새롭게 발견…"우주 팽창 연구 큰 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현상은 초신성의 증거다. 연구팀은 분석을 통해 약 80개의 초신성을 새롭게 발견하는 데
성공
했다. 연구팀은 "초기 우주에서 기존에 확인됐던 초신성보다 10배 많은 수"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발견된 초신성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우주가 탄생하고 18억 년 밖에 되지 않았을 때 폭발한 것으로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보고됐지만 전기적 제어까지
성공
한 사례는 이번이 최초다. 이번 2차원 스커미온 제어
성공
은 상온 큐비트 제작에 활용될 수 있어 초저온 환경에서만 구동하던 기존 양자컴퓨터의 한계를 넘은 '상온 양자컴퓨터' 개발의 문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양승모 KRISS 양자자기센싱그룹 선임연구원은 "최근 ... ...
차세대 강유전체 메모리, 정보 저장 능력 극대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두께와 면적을 조절해 각 층에 전하가 저장되는 능력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
했다. 강유전체층에 걸리는 메모리 윈도우가 커져 정보 저장 능력이 높아지고 소자에 걸어준 전압이 대부분 메모리 윈도우로 전환돼 에너지 소모량도 줄었다. 기존 하프니아 기반 강유전체 소자의 메모리 ... ...
선박용 암모니아 엔진 연소 기술 국내 최초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혼소 엔진 연소 기술 실증이 전북 군산 한국선급 그린쉽 기자재 시험·인증센터에서
성공
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암모니아는 유망한 탄소중립 연료지만 연료공급시스템의 재료로서는 부식성과 독성 등의 우려로 관리가 어렵다. 또 높은 점화 에너지가 요구돼 착화가 어렵고 느린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