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9"(으)로 총 8,42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랩홈 실험실 열려라! 즐거운 화학세상] 이열치열~,더위를 이길 열과 추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도전! 섭섭박사실험왕! 박재진3번의 시도 끝에 만든 다빈치의 다리에 어과동 책 9권을 올렸어요!만들고 나니 뿌듯했지요. (마지막에 저희 고양이가 다 부쉈지만요….) 실험 하나 더!더위를 날릴 렛잇고~, 인공 눈!맛있는 간식까지 먹었지만, 여전히 더위는 가시질 않았어요. 섭섭박사님은 아예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로 표기합니다. 우리가 섭취하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은 1g 당 약 4kcal, 지방은 1g 당 약 9kcal의 에너지를 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요. 갑각류(crustacean, 甲殼類) ‘갑옷 갑(甲)’에 ‘껍질 각(殼)’. 이름에서 알 수 있듯 갑각류는 딱딱한 외골격 껍데기를 가진 동물들의 분류군이에요.세계적으로 ... ...
- [할말있어요! 지구사랑탐사대] 보호종이 되기도 전에 절멸할지도 몰라! 노랑배청개구리를 지켜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노랑배청개구리에게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요? 노랑배청개구리와의 인연은 약 9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요. 2013년 초등 5학년 때 를 통해 수원청개구리를 처음 알게 되곤 실제로 보고 싶었어요. 그래서 부모님을 설득해 지구사랑탐사대 1기를 시작하게 되었죠. 그 당시 저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랑은 자전거를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멍이 빨리 나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통합과학 넓히기멍의 색깔 속에 숨는 코로나19 바이러스?! 4월 22일, 영국 프랜시스크릭 연구소의 피터 체레파노프 박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멍 속의 색소와 결합해서 바이러스와 싸우는 항체의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코로나19 ... ...
- 불완전한 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우연히 실험물리를 만났다. “한국에서 2월에 석사를 졸업하고 미국의 학기가 시작되는 9월까지 시간이 남아 있었습니다. 로체스터대에 계셨던 스티븐 올슨 교수님이 일본 국립고에너지가속기연구소(KEK)에서 실험하고 있으니 도와달라고 하셨죠. 3~4개월 간의 짧은 시간 KEK에서 실험을 했는데, ...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사망했다.이후 실험은 앤드루 화이트 호주 퀸즐랜드대 교수가 맡았다. 2014년 4월, 9번째 방울이 떨어지는 순간은 전 세계 158개국 3만 명의 시청자들과 함께 했다. 현재 깔때기에 남은 피치가 다 떨어지려면 앞으로 100년이 더 필요하다고 한다. 폴링의 삼중나선, 틀린 연구지만 박제된 사연은? 최초로 ... ...
- 지사탐의 시작은 우리 동네 탐사부터 매주 목요일엔 개미 탐사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올해부터 9기 지사탐에 원데이 미션이 생겼어요. 개미를 닮은 목요일에는 개미 기록을 꼭 올리는 거예요. 원데이 미션 ‘목요일엔 개미를!’을 맡고 있는 이화여자대학교 동물의사소통실험실 조명동 연구원을 소개합니다. 조명동 연구원님은 도시화 정도에 따른 개미의 변화를 연구하고 있어요. ... ...
- [기획] 하수도3 싱크홀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분석했어요. 알렉스 넷은 영상 속에서 표면 손상, 균열, 퇴적물이 쌓여 있는 부분 등 총 9가지 손상 부위를 찾아 분류했지요. 그 결과 정확도가 95.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서울디지털재단 정책연구팀 고설태 주임은 “현재 하수도 결함을 찾는 데 더 효과적인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찾는 추가 ... ...
- 따뜻하면서 멋스럽게, MZ 세대 겨울 패션 공식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이 갈색지방은 영아에게는 많으나, 성인이 되면서 퇴화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2009년 네덜란드 연구팀은 성인의 목 뒤편, 척추 뼈 위쪽에도 갈색지방이 분포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찬 바람이 불면 목 뒷부분의 갈색지방세포에서 열이 발생해 추위를 덜 느낄 수 있는 것이다.신체 부위마다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세 번 만났을 때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무사히 야생에 적응해 자신의 영역을 확보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지난해 9월, 다시 구조센터에 구조됐다. 수리부엉이가 다리에 창애(용수철 원리를 이용한 덫)가 걸린 채로 힘겹게 도망다니는 것을 어느 시민이 발견한 덕분이었다. GPS 위치추적기의 기록을 살펴봤더니 구조되기 3일 전부터 먼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