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떠돌이별
유성
planet
d라이브러리
"
행성
"(으)로 총 2,32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휠수록 시간이 느려진다는 것이다. 영화에서도 시간이 느리게 가는
행성
이 나온다. 그
행성
은 블랙홀의 강한 중력의 영향을 받아 시간이 느리게 간다. 그래서 만약 우주선이 블랙홀에 빨려 들어가고 있다고 해도, 블랙홀 외부에 있는 사람이 보기에는 우주선이 결코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구체적인 힘이 작용하는 수많은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덕분에 달이나
행성
의 궤적, 또는 발사된 대포알의 운동을 설명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정량적인 시각으로 세상을 이해할 수 있다는 믿음을 한 번에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뉴턴은 공리체계를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모든 ... ...
[과학뉴스] 지구 자기장 역전 100년 안에도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때문이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던 것보다 10배 이상 빠른 속도다. 미국 UC버클리 지구및
행성
과학과 폴 렌네 교수팀은 이탈리아 술모나 분지에 노출된 고대 호수의 퇴적층을 연구했다. 화산재가 쌓인 모양을 관찰하면, 퇴적될 당시 지구 자기장의 방향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연구팀은 암석의 연대를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우주과학기술이 뛰어나다고는 해도 선진국보다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이번처럼
행성
사이를 오가는 비행을 할 때 그 차이는 더욱 벌어진다. 인도가 미국이나 러시아와 똑같은 방식을 고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렇다면 인도는 어떻게 했을까. 무턱대고 불가능에 도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로부터 몇 년 뒤인 2001년 미국 로렌스리버모어 국립연구소는 우주에서 태양계 바깥
행성
까지 관찰할 수 있는 망원경을 계획했다. 하지만 이 망원경의 크기는 지름만 100m. 축구장만한 크기의 망원경이었다. 이는 당시 미국 항공우주국(NASA) 기술로 우주에 쏘아 올릴 수 있는 한계치의 10배나 됐다.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답니다. 보이저 1호는 인류가 만든 물체 가운데 최초로 태양계 밖으로 나갔고, 여러
행성
과 위성에도 무인 탐사선이 착착 내려앉아 매일 새로운 정보를 보내 주고 있지요. 우리나라도 2020년 달에 탐사선을 보내기 위해 한창 준비 중이랍니다.성훈이와 가은이 그리고 친구들이 쑥쑥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긴 궤도반지름이 거의 1000AU에 이르는 왜
행성
‘세드나’(2003년 발견)다. 태양에서
행성
궤도의 끝(해왕성 궤도)까지의 거리보다 3배 이상 먼 거리를 긴 타원 궤도로 돌며, 지름은 1000km 가까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명왕성보다는 훨씬 작다). 하지만 올해 3월 ‘네이처’에 드디어 두번째 천체가 ...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행성
파가 활성화된다는 것은 이미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서는 북극 해빙이 감소하면
행성
파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나아가 극 소용돌이의 세기를 약화시킨다는 점을 추가로 밝혀낸 데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북반구 겨울에 불어닥친 한파가 지구온난화의 파생적인 현상일 수 있다는 간접적인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과학에서 진리는 투표로 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도는 작은
행성
에 불과하다. 태양은 아보가드로 수 보다 많은 별 중 하나일 뿐이다. 하지만 이 광활한 우주마저 무한히 많은 평행우주의 하나일 뿐이라니. 다 세계 해석이야말로 현대 물리학이 제시하는 허무주의의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불과 500년 전만 해도 사람은 지구가 세상의 전부라고 믿었다.세월이 흘러 우리는 태양계의 8개
행성
을 발견했고, 1995년에는 최초로 태양계 밖에 있는 외계행 ... ‘원조’ 뜨거운 목성으로 다시 태어날 수는 있다. 태양과 목성처럼 대부분의 별과
행성
은 이렇게 마지막 길도 같이 하게 된다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