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광
해
햇볕
태양광선
햇살
태양
천체
d라이브러리
"
햇빛
"(으)로 총 1,106건 검색되었습니다.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때문이다.토성은 목성보다 훨씬 먼 곳에 위치하고 표면도 목성표면보다 더 효과적으로
햇빛
을 반사하지 못한다. 그래서 작은 망원경으로 보는 토성의 표면은 목성보다 전체적으로 약간 어둡고 줄무늬 모양도 뚜렷하지 않다. 다만 토성의 적도지역이 밝게 보이고 그 위아래로 조금 어두운 색을 띤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진화과정을 4단계로 나눠 해설하고 스케치까지 덧붙였다.1800년에는 스펙트럼으로 퍼진
햇빛
의 여러 색들의 온도를 측정하려다가 처음으로 적외선을 발견했다. 허셜은 우연히 온도계를 스펙트럼 상에서 붉은색 밖으로 밀었을 때 눈에 보이지 않는 태양 에너지로부터 온도계가 열을 받고 있다는 ... ...
카멜레온처럼 변화무쌍한 특수잉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없는 장소나 평면, 입체물의 온도분포를 아는데 유용하게 쓰인다. 낮과 밤, 실내와 실외,
햇빛
이 내리쬐는 양지와 나무 그늘 등 모두에 온도 변화가 있기 때문에 시온잉크를 이용할 수 있다.시온잉크의 재료로는 주로 유기화합물이 이용된다. 선글라스에 사용되는 포토크로믹잉크가 이성질체 성질을 ... ...
극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보면 하얀 눈밭에 있는 사람은 거의 보일락말락할 만큼 작다. 이때 거울을 이용해서
햇빛
을 반사시키면 깜박거리는 등불처럼 선명한 신호를 만들 수 있다. 태양과 비행기의 위치를 잘 보고 거울의 방향을 조정해서 비행기에 빛이 비치도록 한다. 계속 한방향으로 비추지 말고 거울을 흔들어 ... ...
태평양 표류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빛의 자극을 피하고 눈을 일상적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보호장치다. 하지만 장시간
햇빛
에 노출되는 경우 유독한 자외선의 영향으로 수정체나 각막이 손상돼 시력을 잃기 쉽다.구명정에서 자외선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방수시트를 구명정 위에 설치하고 그늘에 몸을 숨기는 일이다. 하지만 ... ...
화성 최근에도 물이 흘렀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 화성에서 작은 협곡이 형성된 시나리오를 한 가지 생각해보자.
햇빛
이 잘 들지 않는 크레이터나 골짜기 경사면의 지하에는 소금기 있는 물이 흐른다. 일단 지표로 물이 유출되면 증발이 일어나 지표는 더욱 냉각되고 초기에 유출된 물은 얼게 된다. 점차 얼음장벽이 ... ...
생명의 기원은 바다가 아닌 대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니켈 등 다른 입자와 혼합된다. 물방울의 수분이 차츰 증발하면서 유기물이 농축되고
햇빛
을 받아 화학반응을 일으켜 서로 결합한다. 이렇게 응축된 물방울은 다시 바다로 떨어지면서 또한번 2차 코팅돼 살아있는 세포의 막과 같은 이중층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중층은 그동안 설명하기 ... ...
공룡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눈꺼풀 뼈는 완전하게 눈동자를 덮을 수 있는 안킬로사우르의 경우와 달리 눈 위에
햇빛
가리개처럼 내밀어져 완전하게 눈을 가릴 수 없었다. 노도사우르의 수동적인 방어전략, 즉 낮게 웅크리고 있어 잘 뒤집혀지지 않는 몸 자세를 생각해 볼 때, 이 눈꺼풀 뼈는 육식공룡의 날카로운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겨울 경치가 조금씩 변해 가는 계절이다.
햇빛
도 서서히 강해지면서, 나무에선 초록 잎새가 나오고 남쪽에서는 개화 전선이 북상해 올라온다. 3월 21일은 태양이 하늘의 적도에 위치하는 춘분이다. 점점 밤 시간이 짧아지고, 낮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다. 밤하늘도 1등성이 많은 겨울 별자리들이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모두 수학적인 원리를 이용한 것임을 보였다.또 포물선의 성질을 이용한 포물거울로
햇빛
을 모아 로마함대를 무찌를 수 있었던 것도 수학의 덕분이라고 덧붙였다.하지만 아르키메데스 자신은 수학의 쓰임보다도 자연에 숨어 있는 섭리를 발견하는 것이 더 큰 즐거움이었다.지금도 "수학을 배워서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