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신"(으)로 총 3,4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카메라, 자외선 카메라 등이 있다. 달 위에 하나의 플랫폼을 세우는 셈이다.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12월 16일에 창어3호의 측정 장비 8개 중 5개가 관측을 시작했다. 중국과학원 주 영리오 박사는 “창어3호의 망원경과 카메라가 촬영하는 사진이 선명하다”고 말했다. 창어3호는 핵발전기가 있어 1년 ... ...
- 또 하나의 여행, 공항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정보를 읽어내 모니터에 띄우지요. 전자여권은 칩과 여권 판독기가 RFID(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통해 서로 정보를 주고받기 때문에, 판독기에 10㎝ 이내로 가까이 하면 정보가 뜬답니다. 다른 기기로 여권 정보를 읽어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여권 인적사항을 알지 못하면 칩의 정보도 읽을 수 ... ...
- 11월의 슈퍼태풍, 필리핀 강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단 이틀. 하지만 이 때문에 최소 1만 2000명의 사상자와 실종자가 발생했지요. 교통이나 통신 마비로 연락이 되지 않는 곳을 포함하면 피해를 입은 사람은 훨씬 더 많을 거라고 해요. 전 세계 기상 전문가들은 하이옌 피해를 사상 최악의 자연재해로 보고 있답니다.하이옌이 왜 이런 피해를 냈을까요? ...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OLED옛날엔 무거운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느라 힘들었겠다고? 그렇지. 너희들처럼 옷에 통신장치가 있거나 가볍고 투명한 디스플레이를 쓸 수 없었으니까.그 때 가장 많이 쓰던 디스플레이는 LCD였지. 2012년 전 세계에서 파는 TV의 88%가 LCD를 썼을 정도였으니. 하지만 LCD에게는 몇 가지 단점이 있었어. ... ...
- 치르치르의 응답하라 외계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연락을 주고받을 수 없게 될 걸세. 플루토늄 전지가 완전히 바닥 나 스스로 이동도, 통신도 불가능 하게 되거든. 하지만 진공이라 속도를 줄일 마찰력이 없는 우주 공간에서 나는 그저 묵묵히 떠가겠지. 뱀주인자리를 향하고 있는 진행방향과 현재 속도를 보면 다음 항성인 기린자리의 ‘AC+79 3888’을 ... ...
- 전자칠판에서 스마트폰으로 ‘쓱’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1호
- 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컴퓨터나 전자칠판에 띄운 인터넷 동영상을 스마트폰으로 빠르게 보낼 수 있는 ‘스크린간 콘텐츠 이동 및 공유기술’을 개발했어요. 인터넷 사용을 관리하는 ‘제어서버’를 설치하고 여기에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 같은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지요. 연결된 ... ...
- 큐리오시티, 화성에서 물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뇌에 문제가 생긴 지구방위 그랜파를 이용해 자금을 확보하나…, 했는데! 자동차 사고로 인해 일을 다 망친 닥터 그랜마예요. 부상은 당하지 않았지만 ... 더 걸릴 지 생각해 보면 화성 개발이 먼저인 것 같기도…. (닥터 그랜마가 화가 나서 통신을 끊었기 때문에 인터뷰는 여기까지입니다. ... ...
- 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과학동아 l2013년 12호
- 1990년대 중반에는 수사기관이 통신회사에서 비밀번호를 확보한 뒤, 도·감청대상자의 통신 내용을 확보했다.휴대전화 도·감청과 관련해 2005년 폭로된 ‘안기부 X파일’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미 김영삼 대통령 시절 우리나라의 정보기관인 국가안전기획부(현 국가정보원)가 이탈리아에서 도·감청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아이다. 그 아이는 을 찾아낸 방법을 듣고 내 계획을 유추해냈다.양자얽힘은 통신용으로 쓸 수도 있고, 순간이동용으로 쓸 수도 있다. 그리고 표준양자이론을 활용하면 우주의 확률함수를 원하는 대로 붕괴시킬 수도 있다. 물론 기술이 있다고 해서 주리 같은 꼬맹이도 마음대로 우주를 ... ...
- 과학기술 인재에게 싱가포르는 기회의 땅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싱가포르’가 싱가포르 현지와 온라인 공간에서 함께 연 행사로 데이터 분석, 정보통신기술(ICT), 재료·제조공학 분야의 인재들을 대상으로 열었다. 영국인인 버틀러 교수는 1999년 9월부터 난양공대 기계항공공학부에 재직하고 있다. 인터뷰는 이메일로 진행됐다.“싱가포르의 좋은 점은 문화가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