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은하의 비밀 간직한 막대나선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별이 많다. 실제 나선 팔 곳곳에 보이는 파란빛은 젊은 별들에서 나온 것이다.물론
천문학
자들이 마티니 은하를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목적은 술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은하에서 막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밝혀내 우리은하의 탄생 비밀을 벗기기 위한 것이다. 우리은하도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1호
NASA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부분 은하의 중앙에는 우리 해보다 질량이 1백만 배~10억 배 더 큰 블랙홀들이 숨어 있다고 합니다. 블랙홀의 ... 주었는지 잘 모릅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문제와 똑같지요. 독자 여러분이
천문학
자가 되면 재미있게 연구해 볼 수 있는 것 중의 하나입니다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일식을 관측하며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론을 검증한 일은 세인들의 관심을 끌었다. 영국
천문학
자가 독일 학자의 이론을 증명했다는 사실 때문. 또 전세계 평화를 지지하는 언론인들은 이 사건을 되찾은 평화의 한 상징으로 소개했다. 에딩턴도 아인슈타인에게 “이 사건은 과학 부문에서 영국과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북쪽 하늘의 별자리 3월경 초저녁에 머리 위 근처에 나타나는 별자리로 17세기 독일의
천문학
자 J 헤벨리우스가 신설한 것이다삼각근이 섬유화되어 단축되는 병 삼각근구축증(三角筋拘縮症)이라고도 한다주로 팔의 근육주사가 원인이다삼각근은 견관절(肩關節)을 둘러싸며 어깨를 둥그스름하게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합동 회의에서 아인슈타인의 이론에 손을 들어줬다.이런 결정이 나온 데는 영국
천문학
을 대표하는 다이슨과 에딩턴의 입김이 크게 작용했다. 당시 11월 7일자 런던 타임스는 ‘과학의 혁명, 새로운 우주론, 뉴턴주의 무너졌다’는 제목의 기사를 대서 특필해 아인슈타인은 일약 유명인사로 떠올랐다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우리를 흥분시키고 있다.아마추어
천문학
자가 찾아2004년 8월 24일, 미국의 아마추어
천문학
자 돈 맥홀쯔는 소형 망원경으로 혜성을 하나 발견했다. 그의 발견은 우연이 아니라 그동안 항상 새로운 혜성을 발견하고자 하늘을 열심히 탐색한 결과다. 최근 점차 줄어드는 추세지만, 외국의 경우 아마추어 ... ...
소용돌이, 나선은하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빅뱅 후에는 많은 은하가 태어났습니다. 은하는 수많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또 수많은 은하가 모여 우주를 이룹니다.은하는 생긴 모양에 따 ... 있습니다. 그런데 은하의 탄생과 진화에 대해서는 아직도 모르는 게 많답니다. 어린이 여러분이
천문학
자가 되어 은하의 비밀에 도전해 보세요 ... ...
우리은하 두 번째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박사팀은 IRS 13E로 불리는 별의 군집체 중앙에 블랙홀로 추정되는 대상이 존재한다고 ‘
천문학
& 천체물리학’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군집체에 속한 별들이 공간 속에서 함께 움직이는 현상을 분석해 이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즉 가운데 블랙홀의 중력에 잡혀 이들이 동행한다는 것.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볼 수 없다고 한다. 게다가 광공해 때문에 천체 망원경의 해상도까지 심각하게 떨어져
천문학
자들은 연구에 난항을 겪기도 한다. 눈앞의 어둠을 밝히는 가로등이 저 멀리 우주로 향하는 과학자들의 눈을 멀게 만들어 버린 셈이다.페이스 팝콘과 애덤 한프트는 ‘미래생활사전’에서 ‘밤하늘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날에 발생하는 스모그 대기오염의 하나로 1940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확인되었다 미국의
천문학
자 P 로웰이 1894년에 건설한 천문대 107cm 반사망원경, 61cm · 46cm의 굴절망원경 및 61cm 슈미트카메라 등의 광학관측기기들이 장치되어 있다 생물의 증식과정이나 경제의 발전과정을 근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