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어가족, 백상아리만 있는 게 아니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먹이를 찾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왼쪽 콧구멍과 오른쪽 콧구멍이 맡는 냄새의 세기 차이로 먹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눈이 멀리 떨어진 덕에 시야도 넓다.또 상어는 머리에 금속탐지기와 같은 감각기관인 ‘로렌치니병’이 있어 전자기파를 느끼는데, 귀상어는 로렌치니병이 아래쪽에 많다. ... ...
- 신을 쫓는 기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멋진 예술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당신의 작품과 예술가들의 작품의 차이점은 뭔가? 나는 CERN 소속 과학자여서 그들이 못 들어가는 구역에 오 랫동안 머무를 수 있다(웃음). 내가 찍은 CMS의 사진도 한 번에 나온 게 아니다. 오랜 시간에 걸쳐 220컷을 찍고, CMS 의 과학적, 미학적 특성이 ...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신약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해수학적 모델링으로 구현한생체시계 모델을 활용했다" 신약과 수학 “컴퓨터 안에 가상의 생명체를 구현해 이를 계산 도구로 활용합니다. ... 반응속도식.*손실함수(loss function)학습을 통해 얻은 데이터 추정치와 실제 데이터간의 차이를 계산하는 함수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소유스호는 각각의 특징과 장점이 있다. 비행을 해보지 않더라도 쉽게 알 수 있는 차이점은 크기다. 우주왕복선이 소유스호의 캡슐에 비해 압도적으로 크다. 덕분에 소유스호는 저비용으로 국제우주정거장에 자주 왕복할 수 있다. 반면 우주왕복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을 건설하기 위해 규모가 큰 ... ...
- [과학뉴스] 한국형 인공태양, 1억℃까지 뜨거워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반응이지요. 이때 만들어진 헬륨은 수소 원자핵 4개 질량의 합보다 조금 작은데, 이 차이만큼 에너지가 방출된답니다. 과학자들은 이런 태양의 핵융합 반응을 지구에서 실현시켜 에너지를 생산하려고 해요. 이른바 ‘인공태양’이라고 부르는 기술이지요.지난 2월, 국가핵융합연구소 ...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세 번째 행성을 발견했다. 천체면 통과 방식은 행성이 항성 앞을 지날 때 빛이 줄어드는 차이를 분석해 행성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이다. 연구팀이 이번에 발견한 케플러-47d는 지구보다 7배 크며, 케플러-47b와 47c보다 각각 3.1배와 4.7배 큰 것으로 분석됐다. 밀도는 토성보다도 낮은 ...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인간은 이보다 훨씬 많은 수천 개 이상의 음성을 낼 수 있다. 연구팀은 이런 발성 능력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를 분석한 결과 음성의 수가 많을수록 혀 아래에 위치한 신경 영역의 크기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혀 등 발성 기관과 연결된 뇌 영역이 크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던 교수는 ... ...
- [정수론 어벤져스] 열정과 노력으로 골드바흐의 추측에 도전!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제가 오랫동안 풀고 싶었던 문제는 ‘차이가 2인 소수쌍은 무한히 많다’는 쌍둥이 소수 추측이었어요(수학동아 3월호 참고). 하지만 제 박사학위 과정을 지도한 장 마르크 데슐리에 교수는 골드바흐의 추측에 도전하라고 권했죠. 1982년에 로버트 찰스 보건이라는 미국 수학자가 4 이상의 모든 정수는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중국 최초 우주인 과학선생님 '왕야핑'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과학 실험을 수행한 것은 나와 같지만, 바로 이 부분이 필자와 왕야핑의 가장 큰 차이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는 어릴 때부터 우주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하늘을 올려다보며 우주를 동경하고 별자리를 찾아보는 ‘우주 소녀’였다. 그러다 창천비행학교에 진학하게 됐고, 공군 조종사가 됐다고 ... ...
- [로보트 재권V] 사물인식에 음식인식까지 심부름 시켜보자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슬쩍만 보고도 고양이인 줄 압니다. 시베리안허스키와 치와와처럼 몸집이 수십 배 차이가 나는 개를 보고도 두 생명체를 모두 개라고 결론 내립니다.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 인공지능 연구자들 중에는 인간의 뛰어난 사물 인식 능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인간의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