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경
경관
풍경
경치
무대
배경
사태
d라이브러리
"
장면
"(으)로 총 1,80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실험실에서 하루 종일 현미경을 들여다보거나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기 위해 고민하는
장면
을 떠올린다. 연구 보고서는 또 어떤가. 글쓰기라는 말만 들어도 식은땀부터 흘리는 이공계 학생들은 사실 연구하는 일보다 보고서 쓰기가 더 어렵다고 고백한다. 하지만 연구 보고서 쓰기는 의외로 쉽다. ... ...
나로호, 137초 장벽에 무너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내뿜는 상황을 포함해 3차례 잇따라 작은 폭발이 일어난 순간과 나로호가 추락하는
장면
을 담고 있다.교과부와 항우연은 사고 직후 “정확한 사고 원인은 한국과 러시아 기술자들이 구성한FRB에서 텔레메트리 정보를 정밀 분석해봐야 알 수 있다”면서도 “1단 엔진이 폭발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 ...
가격 차별의 매력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둘은 35000원에 식사를 할 수 있었다. 인기리에 마친 ‘지붕뚫고 하이킥’에 나오는
장면
이다. 뷔페식당이 어른과 아동의 가격을 다르게 정한 데는 무슨 이유가 있을까? 어른 50명, 학생 50명이 사는 섬에 이발소가 처음 생겼다고 가정하자. 어른은 8000원이면 가 볼 생각이고, 학생은 4000원이면 가 ... ...
예능 프로그램 MC는 7명이 대세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잘 유지할수 있다. 무한도전이 6명이던 시절에는 유재석과 한 팀을 이루기 위해 다투는
장면
이 자주 있었다.하지만 7명의 출연자 각각의 역할과 개성이 뚜렷하지 않으면 어수선해지거나 가만히 있는 출연자가 묻히기 쉽다. 팀을 이뤄 안정적인 6명보다 7명이 불안한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소설 ‘세설’에는 1930년대 오사카 교외 지역 스미요시 강에서 홍수가 일어나는
장면
이 생생하게 묘사돼 있다. 둑 꼭대기를 향해 천천히 차오르는 듯하던 강물은 눈 깜짝할 사이에 마을 전체를 뒤덮고 만다. 오래전으로 갈 것도 없이, 2005년 미국 뉴올리언스의 미시시피강은 허리케인이 다가오자 ... ...
시간이 지나면서 풍선의 변화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Q2. [유창성] 영화 ‘업(Up)’에는 노인이 헬륨을 넣은 풍선을 이용해 집을 띄워 올리는
장면
이 나온다. 영화에서는 작은 풍선들을 많이 모아서 집을 띄워 올리는데, 한 개의 대형 풍선을 사용하는 것과 작은 풍선 여러 개를 사용하는 것 중에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인가? 풍선 개수에 따른 장단점을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주인공인 탐 크루즈가 허공의 화면을 손에 장갑 같은 장치를 끼고 마음대로 조종하는
장면
이 나오죠. 2002년에는 이런 기술이 2054년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 거예요.하지만 이 기술은 2010년 현재에도 가능해요. 게다가 손에 아무런 장치가 없어도 되지요. 원리는 바로 적외선이에요. 움직이는 ... ...
붉은 악마 사진만 봐도 함성이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우는
장면
을 볼 때는 활동 부위가 별다른 차이가 없으나 동물이 우는
장면
과 악기 연주
장면
에는 확실히 뇌의 반응 부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뇌가 듣지 않고도 동물의 울음소리와 음악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소리를 구분하고 있다는 뜻이다.다마지오 교수는 “청각피질은 오직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자신의 사형집행일에 향수병의 뚜껑을 열어 모여든 군중을 성적 광란 상태로 만드는
장면
은 이 소설의 압권이다. 소설에서 그려진 정도까지는 아니더라도 효과가 강력한 인간 페로몬을 찾는 사람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런 사람들 덕에 인간 페로몬이 확실한 물증으로 밝혀진다면 맥클린톡의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각도가 크지 않았다. 앵무새는 또 특이하게 날갯짓과 동시에 꼬리를 많이 흔들었다. 이
장면
을 본 한 교수는 로봇새도 주 날개의 날갯짓에 일정한 꼬리 흔들림을 연결하면 효과가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한 교수팀은 자체 개발한 ‘날갯짓 비행체 통합 비행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날개의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