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배"(으)로 총 3,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2014 태국 탐사대, 푸른 바다에 녹색 꿈을 심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팡아 해안생태연구센터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탐사대원들이 도착한 곳은 태국 남부의 푸켓에서 북쪽으로 약 1시간 30분 떨어진 ‘팡아 주’의 해양생태연구센터이다. 한국에서부터 기대하고 기다렸던 ‘바다거북’을 만나기 위해서다. 연구센터의 총 책임자로 일하고 계신 수팝 프리파 ... ...
- PART3. '알도둑' 오비랍토르의 누명을 벗기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현대 공룡 연구의 대세는 뭘까. 새로운 공룡을 발견하는 것? 그렇지 않다. 요즘 학자들의 가장 큰 관심은 공룡의 생태를 밝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거대한 육식공룡이 얼마나 빨리 뛸 수 있는지, 얼마나 강하게 먹이를 무는지, 가족을 이뤄 생활했는지, 사냥을 어떻게 했는지, 지 ...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사람이 1부1처제의 생활을 한다고요?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사회적인 제도(결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1부1처를 유지하고 있을 뿐이지요. ”영장류학자인 김희수 부산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말했다. 대형 영장류는 인류와 진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동물이다. 따라서 인류에게 1부1처제가 ... ...
- 서울대 가서 망했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명문대 가는 바람에 인생이 꼬였다니 이게 무슨 소리냐고? 교보문고 베스트셀러 2위에 오른 ‘다윗과 골리앗’의 주장 하나를 우리식으로 옮기면 이렇다. ‘아웃라이어’로 세계적인 경영사 상가에 오른 말콤 글래드웰이 몇 년을 작심하고 쓴 책이니 허튼소리만은 아닐 것이다.저자는 미국 하버드 ...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백악기 말. 지구는 아직 따뜻하다. 비록 2500만 년 전(기사 시점 기준. 지금부터 9000만 년 전)부터 기온이 조금씩 떨어지고 있고 그래서 백악기 전체 평균에 비해 약 2~3℃ 춥지만, 그래도 인류가 사는 시대보다는 훨씬 따뜻하다. 극지와 열대 사이의 기온차도 적다. 요즘에는 온도가 조금 올라 더 살기 ... ...
- PART2 서로 돕고, 교역하고, 견제하라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옛날에 전갈과 개구리가 살았다. 전갈이 길을 가다가 개천에 다다랐다.전갈: 개구리야, 나 좀 태워줘.개구리: 싫어, 부모님이 전갈은 독이 있으니 조심하라고 했어.전갈: 걱정마! 내가 너를 찌르면 나도 물에 빠져 죽는데, 설마 찌르겠니?개구리: 아~ 그렇구나. 어서 타렴!개천을 건너는데, 물살이 거 ... ...
- GALAXY는 WARP중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새로운 은하의 모습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워프’다. 휴대전화 통신사의 서비스 이름으로, 또 SF 작품에서 ‘순간 이동’을 의미하는 용어로 친숙한 단어다. 하지만 천문학에서 말하는 워프는 다른 뜻으로, 은하가 어떤 이유로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의미한다.은하가 순간이동 하는 모습 ... ...
- 수학을 꽃피운 아름다운 도서관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오늘의 나를 있게 한 것은 우리 마을 도서관이었다. 하버드 졸업장보다 소중한 것은 독서하는 습관이다”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인 빌 게이츠의 말이다. 도서관은 현대의 빌 게이츠를 있게 했을 뿐 아니라, 고대부터 위대한 수학자들의 요람이자 중세 유럽 학문의 암흑기에 수학의 씨를 뿌린 ...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매일 아침 학교에 가기 전에 항상 하는 일을 떠올려 보세요. 비누를 손바닥으로 비벼 얼굴을 깨끗이 닦고, 칫솔에 치약을 발라 치카치카 상쾌한 소리를 내며 이를 닦지요. 어른들은 커피머신으로 갓 뽑아낸 모닝커피를 즐기기도 해요. 바쁜 사람들은 빵으로 아침식사를 때우기도 하고요. 이 모든 ... ...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남쪽으로 1만 km 넘게 날아가면 나오는 남극 대륙. 같은 북반구에 있지도 않은 남극을 우리가 왜 신경 써야 할까. 정말 호주의 두 배에 달하는 대륙 아래 잠들어 있는 지하자원을 미리 조사하기 위해서일까. 수천m가 넘는 두꺼운 얼음을 뚫고 자원을 개발하는 작업은 아직 먼 미래의 일이다. 현재 남극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