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땔감
땔거리
불땔감
에너지
힘
활력
목재
d라이브러리
"
연료
"(으)로 총 2,096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음 진동이 에너지가 되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는 거죠.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이용하면 소음이나 산들바람 등 자연 상태의 진동으로도
연료
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예상했어요. 에너지 부족을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이 되길 기대해 봅니다 ...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2단 로켓으로 1단은 러시아가 개발한 액체
연료
로켓, 2단은 우리나라가 직접 개발한 고체
연료
로켓으로 이뤄졌다. 나로호에는 과학기술 위성2호가 실려 있었다.첫 번째 시도는 2009년 8월 25일에 있었다. 발사 자체는 성공적이었다. 하지만 인공위성을 보호하는 덮개인 페어링 한 쪽이 제대로 분리되지 ... ...
2020년 글로벌프론티어연구, 인간과 기술의 경계가 무너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만드는 프로젝트다.탄소 배출을 억제하면서 유기물인 바이오매스를 전기 생산과
연료
에 사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미국과 유럽연합은 이미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만 한국은 산발적인 연구만 이뤄지는 실정이다. 이맘때면 사람들은 접는 휴대전화나 두루마리식 전자책을 들고 다닐 수 있다 ... ...
비타민C로 만든 전기 맛 한번 보실래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이들 물질이 소화기관에 흡수되지 않고 직접
연료
로 사용되는 방법이 개발된다면 인체 삽입형 로봇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
유체역학의 원리, 화학반응과 에너지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너무 무거운 고체를 띄우려면 얼마만큼 속을 비워야 할까. 화학 반응과 에너지자동차가
연료
를 연소하며 움직이거나 사람이 생명을 유지하면서 살아가는 것은 모두 화학 반응의 결과다.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 에너지의 출입이 일어난다. 다음에 설명하는 화학 반응과 에너지 관련 키워드를 통해 ... ...
치올코프스키의 공식으로 보는 로켓 원리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공식으로 푸는 궁금증 ❶ - 더 세게 내뿜을수록 좋다로켓은
연료
를 태워 만든 뜨거운 가스를 분사구를 통해 빠른 속도로 내뿜음으로써 움직인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가스를 빠르게 내보낼수록 로켓도 빠르게 움직일 것 같다. 공식을 보면 이 사실을 확실히 알 수 있다.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바다에 대한 생각과 이야기를 적어놓은 곳이야.예빈: 요즘 박사님들은 파래에서 바이오
연료
를 뽑고 파도를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등 미래 에너지를 연구하고 계셔.승빈 : 빛이 들지 않는 바다 속 깊은 곳에 사는 생물들이야. 초롱아귀는 머리 위 돌기에서 빛을 내보내 먹이를 유인해.온누리 호와, ... ...
우리 몸의 칼슘 설명하는 새로운 초신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표면에서 일어나는 폭발이었다. 태양 질량보다 8배 이상 무거운 별은 중심부의 핵
연료
를 다 태우고 중심부가 붕괴하며 최후를 맞을 때 맨 바깥층을 우주공간으로 날려버리며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다. 이 초신성 폭발 때는 태양 질량의 수 배에 달하는 물질을 내뿜으며 중심부에는 중성자별이나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잘게 부순 대나무를 건조시켜 단단하게 굳혀서 만든 펠릿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액체
연료
인 바이오에탄올로 가기까지는 다소 긴 시간이 필요할 듯하다. 바이오에탄올을 만드는 데 많이 이용되는 사탕수수나 사탕무 같은 당질계와 옥수수, 감자, 고구마 같은 전분질계는 탄소화합물의 구조가 ... ...
게놈 통째로 바꾼 인공생명체 첫 탄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통째로 바꾼 생명체가 번식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이 발전하면 친환경 바이오
연료
와 공해 제거, 제약 분야에서 쓰이는 맞춤형 물질을 실험실에서 대량생산할 수 있게 된다.미국 크레이그 벤터연구소 크레이그 벤터 박사팀은 ‘M. 마이코이즈(M. mycoides )’라는 박테리아의 게놈과 동일한 인공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