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역사과학"(으)로 총 3,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예술가의 눈으로 본 수학의 모습은 어떨까? 고대 그리스와 르네상스를 거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어쩌면 예술가의 수만큼 많았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가운데서도 수학과 예술은 함께 발전해 왔다.사고의 시작, 공리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 수학과 로비에 조각을 설치했다 ... ...
- PART1. 에너지 비정상회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전현무(의장): 오늘의 비정상회담 안건은 좀 황당하다고 하더라고요.유세윤(사무총장): 도둑놈 심보예요. “연료도 풍부하고 깨끗하면서 안전한 에너지를 마음껏 쓰기를 바라는 저, 비정상인가요?”성시경(의장): 욕심쟁이네요. 에너지를 아낄 생각을 하셔야죠.유세윤: 저 보고 얘기하지 마세요.에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년 12호
- 500테라와트(TW). 미국 전역에서 사용하는 순간 전력량의 무려 1000배에 이르는 에너지다. 이 막대한 에너지가 새끼 손톱만한 한 점에 집중된다. 지구에서 가장 강력한 레이저에 실린 채로다. 화력이 집중되는 지점에 놓인 작은 금속 원통 용기 안에서는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 물리현상이 나타난다. 벽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자녀의 성별에 관해 전해오는 시원통쾌한 이야기 하나. 아버지는 아들을 갖고 싶었지만 첫 아이는 딸이었단다. 아버지는 시시때때로 어머니에게 싫은 소리를 했고, 딸은 그런 아버지를 못마땅해했다. 딸이 학교에서 X와 Y 염색체에 대해 배웠던 날, 또다시 어머니를 구박하는 아버지에게 딸이 회심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2012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국민 1인당 평균 육류 소비량은 43.7kg이다(식품의약품안전처 통계).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그럼 어떤 고기를 가장 많이 먹었을까? 단연 돼지다. 총 소비량의 절반이 돼지고기다. 닭고기가 28%로 다음이다. 돼지와 닭이 한국인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 된 이유는 싸면서도 맛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질병과 약의 비밀, 단백질로 푼다“10년 내에 인간의 질병과 약에 대한 커다란 수수께끼를 풀어낼 것입니다.”현장에서 만난 윌리엄 행콕 HUPO 부회장(미국 노스이스턴대 교수)은 “2022년 9월 ‘염색체 기반 인간프로테옴프로젝트(C-HPP)’가 완료되면 인간의 모든 단백질 정보를 확보할 수 있어 질병 ... ...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왼쪽부터 조주래 연구관, 박태서 연구사, 조장천 교수, 변지민 기자.]“신종헌터는 실험실 밖으로 나가 세상을 탐험하는 과학자입니다. 얼마 전 남극 세종과학기지를 다녀왔는데, 이곳은 돈이 있다고 갈 수 있는 곳이 아니지요. 새로운 미생물을 찾는 신종헌터니까 가능했습니다.”조장천 인하대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화성에서 온 물리학자, 금성에서 온 생물학자. 이 둘을 하나로 엮어주는 것이 있다. 생명의 물질은 모두 원자로 돼 있고, 원자는 양자역학으로 기술된다. 양자역학의 기이한 특성을 이용해 살아가는 생명체가 있을까? 양자과학의 최전선, 양자생물학이다. 우리는 유기체 내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세빛섬에서 터진 폭탄을 조사한 결과, 11월 5일 국회의사당에서 터진 폭탄과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두 사건 모두 같은 조직의 소행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누가 왜 이런 테러를 저질렀는지 아직까지 밝혀진 게 없다는 겁니다. 세 번째 폭탄 테러가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도 모르는 상황이고요.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남쪽 바다에서 당당한 자태를 뽐내는 아름다운 섬, 제주도. 올해 4월, 제주도에 새로운 명소가 탄생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하늘과 우주로 자유롭게 날아오를 수 있는 곳이라는데…? 이런 소식을 가 놓칠 리 없죠? 그래~서!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 다녀왔어요. 모처럼 먼 제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