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
개아
싹
d라이브러리
"
아
"(으)로 총 1,134건 검색되었습니다.
홀라당~ 뒤바뀐 달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차이가 별로 나지 않
아
잘 바뀌지 않
아
요. 또 무정란보다 는 유정란을 이용하는 게 좋
아
요. 무정란은 유정란보다 흰자 부분이 두꺼운 편이라 만들기가 더 힘들거든요.”닥터고글의 해박한 지식에 감탄하고, 고마운 마음씨에 감동한 두 사람. 닥터고글을 위해 특별히 뒤바뀐 달걀 100개를 만들 수 있는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대륙의 서쪽, 멘도시노곶〔串〕에서 북위 40°선을 따라 약 3,000km 이어져 있는 캘리포니
아
북부의 단열대 동부는 하나의 산맥으로 이루어지고 남쪽은 남쪽으로 면한 멘도시노 해저애(海底崖)를 따라 북쪽보다 1,000m 이상 깊다서부는 두개의 산맥이 가파른 면을 마주하고 그 사이에 주상분지(舟狀益地 ... ...
스르르륵~ 물에서 사라지는 마법종이가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종이 대신 ‘이루당이루당’편지지를 줄게. 요 편지지로 말할 것 같으면 좋
아
하는 사람의 이름을 쓰면 3개월 안에 사랑이 이뤄진다구. 한번 써 봐!”다미더 양은 그새 허당 도사에게 속은 걸 잊고 귀가 쫑긋한다. 닥터 고글이 말릴 틈도 없이 편지지를 덥썩 쥐고 러브레터를 쓰는 다미더 양.그런데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돌
아
온 이 씨는 가가린우주센터에서 1주일가량 회복훈련을 받은 뒤 5월 초 우리나라로 돌
아
온다. 그리고 ‘국제유인우주기술 심포지움’에서 우주에서 벌였던 여러 가지 활동을 보고할 예정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대한민국 최초 우주인 탄생!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고산 ... ...
거꾸로 솟는 고드름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우당탕~ 퉁탕~!”닥터고글의 사무실 문 밖에서 나는 소리가 심상치 않다.“뉴턴은 거짓말쟁이야. 난 그런 거 배우지 않을 거라고!”엥? ... 고정하세요~.”역고드름 현상을 멋지게 과학적으로 해명해 준 닥터고글. 과연 엄마와
아
들의 평화로운 관계도 회복시킬 수 있을까? 닥터고글 화이팅~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꼭 다시 보고 싶었다.
아
쉽게도 이두호 선생님은 예전 작품의 원고를 갖고 있지 않
아
내가 생각했던 방향의 전시회는 이뤄지지 못했다.하지만 행사를 기획하면서 동물을 의인화 한 만화를 주로 그리시던 정운경 선생님, ‘달려라 벤’ 등의 동물 만화를 그리시던 이향원 선생님 등과 전화통화를 나눌 ... ...
태안의 자연을 찾
아
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있을 거야. 꼭 그렇게 되면 좋겠어. 더불어 태안의 자연생태를 지키기 위해서는 태안의
아
름다움을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야겠지? 그건 여러분에게 부탁할게.내년에 내가 다시 왔을 때는 깨끗하고 생명이 넘치는 태안을 볼 수 있도록 해 줘. 꼭이야~ ... ...
우주인과의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말을 우리 모두 가슴에 새겨 두도록 해요. 그리고 우주인이 무사히 임무를 마치고 돌
아
올 수 있도록 함께 응원합시다. 진짜 기자 명예기자의 활약을 앞으로도 기대해 주세요~ ... ...
정전기가 자동차를 태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차에 태운 거예요!”
아
뿔싸! 정작 자신의 위험은 알
아
채지 못한 닥터고글. 이발기를 잡
아
들고 냥냥이를 쫓기 시작한다.“냥냥! 너 거기 안 서? ”“냥~! 냥냥 냐앙~?(바보~! 너 같으면 서겠냐?)”정전기, 이렇게만 하면 막을 수 있어!① 몸에 로션을 자주 바르기.② 주유 중 엔진 끄기.③ 정전기가 심한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마찬가지로 모래쥐의 능력도 제각각이었다. 잭슨과 워싱턴이란 이름의 모래쥐는 열 번에
아
홉 번 비율로 모음을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반면 모래쥐 링컨은 정답률이 절반 이하였다. 시넛 박사는 “특정한 모음이 다른 모음보다 더 구별하기 쉬운 까닭은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높낮이나 위치가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