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파산
잘못
과실
착오
실패작
d라이브러리
"
실패
"(으)로 총 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TV로 지켜봤다. 현실에서는 비록 페어링(위성 보호 덮개) 가운데 하나가 분리되지 않아
실패
로 끝났지만, 나로호가 과학기술위성 2호를 예정된 궤도에 올리는 데 성공한 ‘세상’이 있다. 나로호 발사의 성공 시나리오를 담은 항공우주일러스트레이션이다. 항공우주일러스트레이션은 아직 일어나지 ... ...
iPad, what on earth is it for?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마우스조차 달리지 않은 데다 속도도 넷북보다 더 느린 기계에 불과했다. 그것은
실패
했다.{BIMG_R2}지금 애플은 우리에게 또 다른 태블릿 PC를 제공하고 있다. 아이패드가 그것이다. 10년 전에 우리는 이미 그것을 원하지 않았다. 왜 지금에 와서 그것을 원하겠는가? 애플의 제품에 대해 글을 쓸 때 ... ...
나로호 2차 발사 관전 포인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지난해 8월 25일 발사된 뒤 위성보호 덮개(페어링) 하나가 제대로 분리되지 않아 위성을 정상 궤도에 올리는 데
실패
한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가 하늘길을 여는 두 번째 도전에 나선다.
실패
를 딛고 재기에 나서는나로호 2차 발사를 미리 살펴봤다.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벌집을 지어 겨우내 먹을 음식을 저장하고 새로운 일꾼을 키워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실패
한다면 추운 겨울을 나지 못하고 꿀벌의 제국은 무너지고 만다. 실제로 꿀벌의 제국은 80% 정도가 이 때문에 사라진다. 그러니 꿀벌에게 신속하게 새로운 거처를 찾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 ...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않게 짜고, 실험 단계마다 실험 내용을 시간별로 꼼꼼하게 기록한다. 나중에 실험이
실패
하더라도 이 실험노트는 원인을 파악하고 수정하는 데 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24시간 내내 실험실이 돌아간다니 너무 바쁜 건 아닐까. 이에 대해 이 교수는 “새로운 것을 찾아 알아가는 기쁨만 하겠냐”며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가서도 충분히 이공계 대학에 진학해서 원하는 공부를 할 수 있는 길이 있어. 단,
실패
한 원인을 분석하고 부족한 점을 채우는 건 자신의 몫이야. 너에게 부족한 리더십은 고등학교에 올라가서 꾸준히 노력해서 길러야 돼.” 상담 선생님의 조언 1. 중고등학교 때까지는 선호하는 과목만 골라서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컴퓨터과학이나 전자공학 기술을 이용해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지만 계속
실패
했다. 시간이 흐를수록 인간이 알고 있는 유일한 지능은 뇌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인공지능 관점에서 보면 뇌도 신경세포를 갖고 계산하는 컴퓨터로 볼 수 있지만, 실제로 신경세포의 구조를 분석해 보면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개념의 창시자인 굴드도 과학자로서의 명예를 찾지는 못했다. 그는 특허 출원에도
실패
하고 자신의 레이저도 완성하지 못했다. 학자보다는 발명가와 사업가로서 삶을 더 즐겼던 굴드는 레이저로 특허 출원을 하려고 했으나 특허에 필요한 문서를 잘못 이해해 출원을 미루고 말았다. 게다가 TRG에서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경우 2020년이라는 발사 목표 시점을 시간상 맞추기 힘든 실정이다. 교과부는 나로호가
실패
할 경우 최대 3번까지 동일 발사체를 쏠 수 있도록 러시아 측과 합의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러시아 측은 1단 로켓의 결함이 발견되지 않는 한 책임지지 않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과학저널리즘의 현 주소를 단적으로 보여준다.‘광우병 사태’를 비롯해 ‘나로호 발사
실패
’, ‘4대강 사업’처럼 과학과 사회가 맞닿은 접촉면이 넓어지고 있는 데 비해 과학 보도의 신뢰성이나 정확성은 점점 의심 받기 시작했다. 과학을 홍보 수단으로만 생각하면서 과학 보도에서 엄밀함은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