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설"(으)로 총 2,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상에서 출발해 큰 무대 누비다과학동아 l2010년 03호
- 하는 열교환으로 에너지를 절약하는 설비다.또한 연구 결과를 실제 검증할 수 있는 실험시설도 세계적인 수준이다. 복사냉난방 및 수배관 실험실이 마련돼, 외부 조건과 관계없이 영하 10℃에서 영상 40℃까지 복사냉난방 실험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연구실에 들어온다고 완전히 새로운 지식을 ... ...
- π-day, 어디서 즐길까?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아니라 기왕이면 수학, 과학을 좋아하고 재능있는 초등학생 80명과 함께. 기초과학연구소 시설을 견학하고 연구자들도 직접 만나면서 수학자, 과학자의 꿈을 키울 수 있도록 말이야.2010년 파이의 날에도 고등과학원은 동대문구 주변 초등학교 네 곳과 연결해 초등학생 80명을 초대할 계획이야. 그와 ... ...
- 끝없는 도전의 산물 NASA 우주복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진행된다는 사실은 여러 실험에서 이미 증명됐다. 1965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한 연구 시설의 저압실 안에서는 테스트 중이던 우주복이 터지면서 사람이 진공상태에 노출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당시 이 남성은 진공 상태에 노출된 지 약 15초 만에 의식을 잃었는데, 이는 산소가 부족한 피가 폐에서 ... ...
- 줄기세포 화장품의 진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세포 물질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는 것.정형민 사장은 “대다수 화장품 회사들이 GMP 시설을 갖춰 놓고 있다”며 “안전 기준이 엄격히 마련만 된다면 배양액을 재조합해 만든 성분이든 배양액 그 자체를 사용하든 위험하지 않다”고 말한다.그럼에도 한동안은 줄기세포 화장품의 부작용에 대한 ... ...
- 금메달을 만드는 명품 얼음과 눈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먼 위층, 즉 얼음 표면을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가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세계적 시설인 캐나다 캘거리 아이스링크의 경우 2.5~4cm 정도의 얼음 두께를 자랑한다.반면 서울 목동과 경기 고양시 일산 아이스링크와 같은 대표적인 국내 경기장은 얼음 두께만 7~8cm에 이른다. 국내 선수들은 최적의 얼음 ... ...
- 21세기, 철도가 부활한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최근에는 양상이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만.”김 교수에 따르면 지난해 교통 분야 사회기반시설(SOC) 예산 가운데 도로가 58%, 철도가 29%를 차지했다. 그러나 2020년에는 이 관계가 역전돼 도로가 40%, 철도가 50%를 나눠 갖는다. 그렇다면 왜 세계는 철도에 주목하는 것일까.“기차는 자동차에 비해 빠르고 ...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과학동아 l2010년 02호
- 자가유래줄기세포의 경 우 의약품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GMP(우수의약품 제조, 관리기준) 시설이 있는 곳에서 배양할 경우 별다른 규제 없이 의료행위에 쓸 수 있다.자가유래줄기세포, 임상시험 필요한 의약품인가“자가유래줄기세포 치료라는 건 어차피 환자 본인만 쓰는 겁니다. 이걸 의약품이라고 ... ...
- 한국 원전 첫 수출, 숨은 비결은과학동아 l2010년 02호
- JUST) 내에 5MW(메가와트,1MW는 100만W)급 연구용 원자로와 방사능 물질 생산시설 등을 2014년까지 건설하는 것이다. 공급될 원자로는 ARP1400처럼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 연구나 의료용 방사능 물질(동위원소) 생산에 주로 사용된다. 한국은 1959년 미국에서 공여받은 연구용 원자로를 ...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과학동아 l2010년 02호
- 블랙홀 우주선이 내는 중력파는 진동수가 많은 고주파이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관측시설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중력파 질량을 가진 물체가 움직이거나 진동할 때 내는 파동. 마치 전하가 운동하면 전자기파를 내는 것과 비슷하다. 하지만 중력파는 워낙 세기가 약해서 검출하기가 매우 ...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위원장인 충남대 토목공학과 정관수 교수는 우리나라가 도로나 항만 같은 사회기반시설(SOC)에 투자한 것에 비해 하천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해왔다고 말한다. 그 결과 여름마다 크고 작은 수해를 입고 겨울과 봄에는 가뭄으로 고생해왔다는 것. 그런데 최근 지구온난화로 기후가 급변하면서 이제는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