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핵배송 비결1] 고객데이터로 주문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남깁니다. 회원 가입할 때 입력하는 이름, 생년월일, 성별은 물론 검색한 키워드, 자주 본 상품 목록 등 온라인에서 물품을 알아보기 위해 했던 모든 행동이 데이터로 기록되죠. 인공신경망을 이용하면 이런 변수 사이의 관계를 찾을 수 있어 ‘날씨가 맑은 수요일 점심에 커피 주문량이 평소보다 3배 ... ...
- [오일러 프로젝트] 200만 이하 소수의 합은 얼마일까? 블랙 위도우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아쉬웠던 블랙 위도우가 영화 ‘블랙 위도우’로 돌아올 예정이죠. 그런데 표지에서 본 블랙 위도우와 다르게 제 모습은 어딘가 위축돼 보인다고요? 블랙 위도우는 어떤 전투에서도 이길 수 있을 것처럼 당당하지만 전… 그렇지 않다고요! 과연 제가 블랙 위도우처럼 소수라는 전쟁터에서 살아남을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1255만 회채널명 : Imaginative Guy (구독자 수 : 121만 명) 발명왕 에디슨의 위인전을 읽어본 적 있나요? 직접 달걀을 품어서 병아리로 부화시키려고 했던 이야기가 인상 깊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런데 여기, 에디슨보다 더 희한한 사람이 있어요! 달걀을 품는 것도 모자라, 페트병 속에 넣어서 ... ...
- 10대 토론, 미성년자 동물 해부실습 찬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동물실험에 참여한 실험동물의 위령제를 지내며 그들의 넋을 기리고 위로한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실험동물에 대한 고마움을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되고, 실험동물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연구개발에 더 매진하게 되지 않을까요. 농림축산식품부는 동물보호법 개정안의 ... ...
- [과학동아X긱블] 지난겨울 시작된 '레게노'스토리, 붕어빵 자동 조리 장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예상하지 못한 결과였습니다. 알루미늄 틀에 바로 반죽을 구우면 안 된다는 걸 직접 해본 뒤에야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원정대는 프라이팬이나 냄비 바닥처럼 코팅을 추가로 입혀 붕어빵 틀을 새로 만들어야 했습니다.여러 번의 시도 끝에 적당량의 반죽과 앙금, 그리고 불의 세기와 가열하는 ... ...
- 2020년 국회의원 선거 결과 만 18세에 달렸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유권자가 중도 진보 성향의 후보에게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할 수 있다는 거야. 따라서 본인이 만족스럽지는 않더라도 진보 성향의 후보가 우세한 것은 사실이니까, 극단적 진보 유권자는 크게 봤을 때 진보 진영이 승리할 거라고 안심할 수도 있지. 그래서 다수의 극단적인 진보 유권자가 선거에서 ... ...
- 수학이 가득한 벌집, 곤충계의 건축 박사 꿀벌을 만나다!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꿀벌 집이 인간에게 도움을 주기도 하나요?물론입니다. 이미 많은 건축물이 우리 집을 본 따 만들어졌죠. 서울의 신논현역 근처에 있는 ‘어반하이브’라는 건물은 외관이 특이하기로 유명합니다. 건물 외벽에 수천 개의 작은 원이 뚫려 있거든요. 그런데 더 특이한 건 건물의 안쪽 구조예요. ... ...
- [과학뉴스] 세포 로봇의 등장! ‘제노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찾아내 청소하거나, 해양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수거할 수 있어요. 버몬트대학교 조슈아 본가드 교수는 “제노봇은 전통적인 기계 로봇과는 완전히 다르다”며,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살아있는 유기체를 만들어냈다”고 자신들의 연구를 평가했어요. 하지만, 연구팀은 이 로봇의 성질이 생명체와 ... ...
- [이달의 과학사] '피자 세이버' 발명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로 퍼지기 시작했어요. 전쟁터였던 이탈리아에서 피자 맛을 본 미국 병사들이 귀국해 피자를 찾으면서 다양한 피자가 개발되기 시작했죠. 1960년대에는 피자 배달 서비스가 널리 퍼지며 피자의 인기에 불을 붙였어요.그런데 피자를 배달할 때 쓰는 넓적한 종이 상자에는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수 있어요. 하지만 실제 관측 가능한 우주는 그보다 훨씬 더 커요. 과학자들이 계산해 본 결과 그 거리는 460억 광년이고, 이것이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이죠. 왜냐하면 우리가 빛을 이용해 우주의 크기를 가늠하는 순간에도 우주는 팽창하고 있고, 그 속도가 너무 빨라서 정확하게 계산하는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