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복잡"(으)로 총 4,502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해독이 까다로워서다. 게놈의 크기가 인간 게놈의 두 배에 달할 만큼 크고, 게놈의 80%는 복잡하게 반복돼 있다. 이것을 한꺼번에 시퀀싱(염기서열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국제 공동 연구팀은 ‘샷건 시퀀싱(shotgun sequen cing)’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염기서열을 작은 DNA로 절단하고,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이 질문을 하게 돼요. 결국 학생들은 여러 사람이 동시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크고 복잡한 문제를 작게 여러 개로 나누는 ‘병렬화’ 작업을 하면서 경영을 배우게 되지요. 실제로 이번 도전을 하면서 특정 부분의 조립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는 문제를 설명서와는 다른 조립 순서를 찾아내 ... ...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끝부분에는 지름이 평균 2μm인 섬유가 있었다. 이 미세한 섬유들은 천이나 체인처럼 복잡하게 꼬여 있었다. 연구팀은 이런 결정 구조가 치아의 경도를 높인다고 설명했다. 경도가 높을수록 마모 스트레스를 잘 견딘다. 실제로 파랑비늘돔의 치아는 1cm2 당 82t(톤)의 마모 압력을 견딜 수 있다. 길버트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되니까 상자를 더 빠르게, 많이 만들 수 있어요. 육각형 상자는 선분이 6개나 필요해서 더 복잡하고, 선분 한 개를 그릴 때 더 신중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격자 모양이 달라도 속임수 전략을 사용하거나 상자 고리를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도트 앤 박스와 원리가 같은 ‘끈과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정보가 이용되는지 알 길이 없다. 그저 시각정보가 상위 단계로 전달될수록 뇌는 점점 더 복잡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인지하고(이 사람이 누구인지, 누구와 닮았는지), 추상적인 정보(표정이 어떤지)까지 생성한다.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는 없다그간 뇌 과학자들은 얼굴 인식 세포의 정체를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건의 사항을 반영해 평가 시스템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막스플랑크연구소 복잡계물리연구소장을 지낸 피터 풀데 박사는 “막스플랑크연구소는 연구자의 연구 방향이 잘못됐다고 판단하더라도 연구자가 이를 바꿀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준다”며 “평가를 (연구자를 통제하는) 권력으로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얼굴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파악한다. 실제로 개발된 얼굴 인식 AI는 이보다 단계가 훨씬 복잡하다. 층이 많을수록 데이터를 많이 저장할 수 있어 얼굴 인식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랩 아시아(MSRA)에서 100개 층이 넘는 사물 인식 AI(Residual Network)를 개발했다. 기존 ...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지금은 국산 장난감과 만화책 수집에 열을 올리고 있답니다. 수치해석★문제가 너무 복잡해 정확한 답을 구할 수 없을 때 근에 가장 가까운 값을 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 Q. 국산 장난감을 모으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불과 20~30년밖에 되지 않은 국산 장난감과 만화책도 구하기 매우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일은 아니다. 우리 뇌는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복잡한 뇌의 활동을 전기적인 현상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다양한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에 영향을 받기도 하고, 최근 밝혀진 바에 따르면 심장 박동도 뇌 활동에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저명한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보여줬다. LMB 연구원들의 공동 연구 관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였다. 마치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LMB에서는 연구 그룹 간의 장벽이 없다는 게 새삼 피부에 와 닿았다. 그는 “티타임을 포함해 LMB의 모든 문화와 시설, 조직은 연구자 사이의 네트워크를 견고하게 다지기 위해 존재한다”며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