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 흑점 실종, 지구온난화 영향 없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입자가 구름의 형성을 촉진해 저층 구름이 많아지게 된다고 한다. 결국 구름이 태양 빛을
반사
해 지구 온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한다.실제로 흑점이 발달하지 못했던 1645년부터 1715년에 걸친 70년 동안 지구 평균기온이 떨어져 한랭기가 나타난 적이 있다. 이 기간을 ‘마운더 극소기’라고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CO2)같은 온실가스가 증가하며 지구복사에너지 가운데 방출되지 못하고 지구로
반사
돼 들어오는 에너지가 증가했고 결국 기상현상이 더 활발해졌다. 그만큼 적도 인근에 자리하는 북태평양고기압이 한반도의 기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지구온난화로 우리나라에서 기온은 얼마나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필요하다. 단일편파레이더는 비나 구름에서 부딪혀 돌아오는 신호의 세기인 ‘
반사
도’로 강우량을 계산한다. 수평파만을 보내 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강우량 예측에 오차가 크다. 구름 형태를 층운형(수평 모양)으로 고정해 놓고 구름이나 입자 모양에 관계없이 강우량을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형광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가짜 미끼를 쓴다. 인공적으로 만든 이 미끼가 집어등 빛을
반사
해 번쩍이면 호기심 많은 오징어가 이를 건드리다 수십 개의 바늘이 박혀 있는 낚시에 몸이 꿰여 올라오게 된다.조선 후기의 실학자 서유구는 ‘전어지’에서 “어부들이 구리로 오징어 모양을 만들고, ... ...
LED, 21세기 밝힐 경제적 친환경 빛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빛을 광결정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며 “파란빛만 선택적으로
반사
시키는 광결정을 이용해 LED 내부에 갇혀 있는 파란빛을 외부로 방출하는 원리”라고 설명했다. 광주과학기술원 LED연구센터는 이 기술을 삼성 LED로 이전하는 중이다.광결정은 실리콘 반도체에도 활용된다. 우리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대부분은 빈공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극히 일부의 알파 입자가 크게 굴절하거나,
반사
되는 것으로 봐서 원자의 가운데에 (+)전하를 띤 무거운 원자핵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러더퍼드는 위 실험을 통해 부피가 굉장히 작은 (+)전하를 띤 원자핵 주위에 (-)전하를 띤 전자가 원운동을 하고 있는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조만간 상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국섬유개발연구원에서는 2004년 모기 눈이 빛을
반사
시키지 않는 특성을 본떠 ‘슈퍼블랙’이라는 새로운 색깔의 섬유를 개발하려고 시도했다. 일반 섬유 표면에 마이크로미터(μm) 단위의 홈을 규칙적으로 파모기 눈 구조처럼 만들면 빛이 대부분 흡수되면서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10층석탑. 국보 제2호인 이 석탑은 10년째 커다란 유리벽에 둘러싸여 있다.햇빛이
반사
돼 보기 불편하고 사진도 잘 찍기 힘들다. 그래도 유리벽을 설치해 두는 이유는 산성비와 새 배설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문화재를 훼손하는 대표적인 새가 바로 비둘기다.오랫동안 ‘평화의 ... ...
손가락 굵기에 도전하는 LED TV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중심부는 어둡게 보이던 문제도 도광판으로 해결했다. 도광판 내부에 레이저로 미세한
반사
패턴을 조각해 광원과의 거리는 달라도 화면에 도달하는 빛은 일정하도록 설계한 결과였다. 삼성전자 홍보팀 김세훈 과장은 “직하방식은 삼성이 2006년 LED TV를 처음 만들었을 때부터 지난해까지 사용했던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달 먼지로 만든 콘크리트로 망원경의 뼈대를 완성한 다음 지구에서 가져간 알루미늄으로
반사
경을 만드는 방법을 제안했다. 중력이 약해 큰 망원경을 만들기 좋을 뿐더러 대기가 없어 별이 또렷하게 보일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아폴로의 달 착륙 테크놀로지 달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