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지구는 태양에너지를 받지 못해 죽음의 행성이 될 것이다.태양이 지금처럼 우리은하의 바깥쪽이 아니라 중심부에 있다면 어떨까. 역시 아주 가까운 곳에 다른 별이 있지 않는 한 지구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다. 물론 은하 충돌과 마찬가지로 밤하늘에 훨씬 더 많은 별이 보이겠지만.이렇게 ...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과학동아 l2012년 07호
- 할 물건에 과도하게 집착하게 된다. 또 배외측전두엽 (dorsolateral-prefrontal cortex)에서 바깥쪽 선조체로 연결되는 회로에 문제가 생겨도 저장강박증이 나타난다. 안와전두엽이 하던 행동을 계속하는 행동과 관련이 있다면 배외측전두엽은 새로운 자극이 들어왔을 때 이를 처리하려고 한다. 따라서 이 ...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과학동아 l2012년 07호
- 경우, 둘 중 하나의 항성(별)만을 도는 행성(이를 ‘S 타입’이라고 한다)과 두 항성의 바깥을 도는 행성(이를 ‘P타입’ 또는 ‘쌍성주위행성’이라고 한다) 두 가지가 있다. 쌍성 태양계의 지구도 이 가운데 하나의 궤도를 택할 것이다.문제는 항성의 온도가 서로 달라 공전 위치마다 온도가 ...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수학동아 l2012년 07호
- 한다. 회전관성은 물체의 생김새, 더 정확히 말해 물체의 회전축에서 가장 바깥쪽까지의 질량의 분포에 따라 결정된다. 질량이 축으로부터 먼 곳까지 분포해 있을수록 회전관성이 커진다.줄을 타며 팔을 벌리거나 막대를 드는 이유도 회전관성을 크게 하기 위해서다.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 ...
- - 여수엑스포 빅오의 과학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각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해냈다.Ocean의 O와 제로의 0디오의 바깥 원은 Ocean(해양)이라는 영어의 첫 글자를 따서 완전한 원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물로 스크린을 만드는 안쪽 원은 세로 지름 31m, 가로 지름 27m로 타원형이다. 제로를 뜻하는 0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 ...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비달 교수로부터 나왔다. 비달 교수는 캐시처럼 뇌에 직접 전극을 이식하는 대신 두개골 바깥에서 뇌파를 측정해 명령어로 이용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두개골을 열지 않아도 돼 훨씬 안전했다. 하지만 단점이 있었다. 두개골은 전기가 잘 통하지 않고 두개골의 두께만큼 뇌세포에서 멀기 때문에 ...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다이내믹하게 바꿀 수 있다”고 설명했다.하나씩 따져 보자. 수온은 소용돌이 내부가 바깥보다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다. 고기압, 저기압과 유사한 형태다. 염분도 마찬가지다. 염도가 내부에서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다. 이는 밀도의 차이를 만든다. 반경 100km 크기를 감안해 볼 때 수온과 ...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빛의 속도로 돌렸다. 마치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처럼, 두 개의 금 이온은 서로 안쪽과 바깥을 번갈아 돌았다. 그리고 서로 안팎으로 위치가 바뀌는 6개 지점에서 충돌을 일으켰다. 이런 충돌이 순식간에 10만 번 넘게 되풀이되며 가속기 안에는 부분적으로 온도가 4조℃(정확히는 절대온도 K 단위지만, ...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행동을 했다면,평소에는 얼마나 정교한 협업을 할 수 있는 걸까.잘 알려져 있듯 일벌은 바깥에서 일하다 꿀이 있는 꽃을 발견하면 집에 돌아와 동료들에게 위치를 알린다. 이 때 사용하는 방법이 잘 알려진 벌춤이다. 엉덩이를 좌우로 흔드는 ‘엉덩이 춤’을 추고 좌우로 빙글빙글 ‘8자 스텝’까지 ... ...
- 오징어는 하늘을 나는 게 더 쉽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헤엄치는 것보다 빠르다고 발표했어요. 그는 키우던 오징어가 아침마다 2~3마리씩 수조 바깥에 죽어 있는 것을 보고 오징어가 물 밖에서 날 수 있다고 추측했어요. 그래서 오징어에 꼬리표를 달아 추적하는 연구를 했답니다.오징어는 먹이를 찾거나 알을 낳기 위해 1000km가 넘는 긴 거리를 여행해요.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