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렬
큰
이음보
d라이브러리
"
대형
"(으)로 총 2,3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너의 꿈과 열정이 충분히 드러날 수 있을 거야.” 상담 선생님의 조언1.
대형
서점 사이트를 비롯한 인터넷에서 중학생을 위한 이공계 추천도서 목록을 검색해서 책을 읽어본다.2. 자신이 어떻게 공부할 것인지에 대해 하루 계획표를 짜고, 월 단위, 연 단위로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고 그에 맞춰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직접 비추면 시력을 잃을 위험이 있다. 레이저에 시동을 걸고 약 5분이 지나자 벽에 걸린
대형
액정디스플레이(LCD) 화면에 수십 개의 동그란 작은 원들이 나타났다. 대물렌즈가 포착한 나노 입자 시료들이다. 완벽한 구의 형태를 띠는 이 입자들의 지름은 5μm로 동일하다. 이 교수는 “빛이 침투할 수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짓고 모든 인쇄물에 재활용 용지를 사용했죠. 특히 2000년 시드니 하계올림픽에서는
대형
쓰레기 매립장이 있던 토양을 복구해 올림픽 공원을 건설하고, 희귀종인 골든벨 개구리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테니스 코트를 다른 곳으로 옮기기도 했습니다.이번 올림픽도 교통수단은 물론 선수들이 머물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바다는 대왕오징어의 경우처럼 자원이 풍부하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산갈치같은
대형
어류는 성장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한 번에 많은 양의 먹이를 먹어야 한다. 그래서 이들이 생존하려면 그만큼 먹이가 풍부한 해역을 찾아갈 수밖에 없다. 이연구사는“특히 산갈치는 먹이를 적극적으로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진도는 지진이 일어난 곳, 즉 진앙지와의 거리와 지반·거주지역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대형
지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는 또 다른 이론은 ‘아무르판의 존재에 대한 가설’이다. 이 가설은 한반도를 동서로 관통하는 아무르판이 존재하며, 한반도가 지진 발생 위험이 높은 아무르판과 유라시아판 ... ...
세계 최대 달 모자이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지난해보다 우수한 작품이 많이 출품됐다”며 “대상작은
대형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달의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나 산맥 등 여러 지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라고 밝혔다.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중앙과학관(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 ... ...
수학자? 과학자?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색이 번지는 현상을 없앴다. 반사망원경은 굴절망원경보다 크게 만들기 쉬워 지금도
대형
망원경은 주로 반사망원경으로 만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영원한 찰떡궁합 수학과 과학 최초의 수학자와 과학자는 누구?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전망이다. 이 가운데 육지로 올라온 수중동물이 식물이 번성하는 습지에 살면서 점차
대형
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먹이를 많이 먹을수록 덩치가 커지는 파충류 가운데는 현존하는 코끼리보다 훨씬 큰 거대동물이 출현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수컷코끼리보다 몸무게가 무려 24배 더 나가는 거북이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다. 2009년 9월 ‘네이처’에는 “2004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초
대형
지진이 8000km 떨어진 북미 산안드레아스 단층과 남미 칠레 단층을 약하게 만들었다”는 논문이 실렸다. 단층이 약해지면 응력의 변화에 취약해져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미국 노스웨스턴대의 세스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더 높은 온도를 만드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에 설치돼 있는
대형
강입자충돌기(LHC)에서는 이번 실험보다 약 28배나 더 높은 에너지에서 초기 우주를 재현할 계획이다. 사실 빅뱅 순간의 온도가 얼마였는지는 알지 못한다!지상의 가속기 실험을 통해, 초기 우주의 새로운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