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제개발협회
개발
국제
협회
국제경쟁력
경쟁력
경제
d라이브러리
"
국제경제
"(으)로 총 1,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련횡단광케이블」성사될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소련을 관통해 유럽과 일본을 잇는 광케이블 건설에 세계적인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최근 도쿄에서 열린 8개국 9개통신회사들은 소위 '소련횡단케이블'로 불리는 광케이블을 공동추진키로 합의하고 올해안에 착공하기로 했다.참가업체는 소련 우전부(郵電部), 일본 국제전신전화, 영국 브리티시텔 ... ...
환경오염의 해결이란 큰짐 진 조경식 초대환경처장관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경제성장과 환경보전이란 두마리 토끼를 쫓는 동시추구론자라고나 할까요" 환경오염문제의 해결은 90년대 우리사회가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분야중의 하나다. 물 공기 음식 쓰레기 주거환경 등 어느 것 하나 우리생활과 직결되지 않은 것이 없다. 대통령도 최근 연두기자회견에서 밝은 미 ... ...
10년후엔 「한국형 중급항공기」개발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최근 국내 항공산업은 FX와 HX사업으로 활기를 띠고 있다. 이를 계기로 앞으로 10년 후에는 우리의 독자모델인 '한국형 중급 항공기'를 개발할 예정이다.80년대 첨단산업의 스타는 반도체다. 각종 첨단 광고에 반도체는 이미지메이커로서 빠지지 않고 등장했다. 실제 현실에 있어서도 반도체의 메모리 ... ...
PARTⅡ 신호등과 컴퓨터의 만남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가장 빠르게 교차로를 통과하게 하려면 컴퓨터가 제어하는 교통신호체계가 필수적이다.세계 최초의 교통신호등은 지금부터 1백22년 전인 1868년 영국의 웨스트 민스터시에 등장했다. 이때는 상용(商用) 전기가 없었으므로 가스등을 사용했다. 이 신호등은 적색과 녹색 두개의 등으로만 구성됐는 데 ... ...
물리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지난 10여년 동안에 우리나라는 제조기술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발전을 했다. 퍼스널컴퓨터 VTR 등 전자제품은 세계적으로 앞선 국가중의 하나이며 자동차공업과 조선분야에서도 선진국에 못지 않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하여 기초과학을 비롯한 R&D(연구·개발)분야에서는 선진국과 큰 격차가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88년 2월 킹조지섬에 세종기지를 세운지 2년, '미지의 땅' 남극연구에는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1년전 아르헨티나선박 침몰사고 후 환경오염에 관한 우려가…89년 10월 18일 우리나라는 파리에서 열린 제9차 남극조약특별협의회의에서 23년째로 남극조약협의당사국 자격을 획득했다. 78년 크릴(새 ... ...
과학계에 새바람 일으킨 과학기술운동을 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낙관론과 비관론김-바쁜 중에도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논의할 주제는 90년대를 맞이하면서 우리의 과학기술운동이 어떤 과제를 안고 새롭게 출발해야 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요즘 아이들에게 '커서 뭐가 될 것인지' 물어보면 대개 '과학자'라고 대답합니다. 옛날에는 '대통령'이었는데. ... ...
PARTⅡ 조력발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태양계가 존속하는 한 고갈될 염려가 전혀 없는 조력발전.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력발전의 최적지로 평가되고 있다.조력발전(潮力発電)이란, 연안에서 발생하는 해수면의 상하운동, 즉 조석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조석(潮汐)현상은 주로 달의 인력에 기인하는 것으로 연안에서 ... ...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노벨평화상 수상자 또는 소련 반체제학자로 널리 알려진 사하로프는 현대 물리학의 핵융합이론 반물질이론 중력이론 등에 커다란 공헌을 한 천재적인 이론물리학자였다.'러시아의 양심'이라고 불리던 안드레이 사하로프(Andrei Sakharov)박사가 1989년이 저물어 가는 12월 14일 모스크바 자택에서 협심증 ... ...
무공해 대체 에너지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지구환경을 파괴시키지 않고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로 풍력 조력 지열발전 등이 고려되고 있다.에너지는 산업발전의 원동력임과 동시에 우리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필수적인 요소다. 난방 취사는 물론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제품은 에너지가 없으면 움직일 수 없다.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