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하늘
허공
천계
안테나
안테너
공간
d라이브러리
"
공중
"(으)로 총 1,353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눗방울로 풀린 난제 페르마 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적 비눗물을 그릇에 담고 빨대로 불어 비눗방울을
공중
에 뿌리는 놀이를 해보지 않은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무지개 빛을 뿜는 작은 물방울의 현란한 움직임에 정신이 팔려 불고 또 불던 기억이 새롭다. 요즘 결혼식장에서 기계로 뿜어대는 비눗방울의 양에는 못미치지만, 사람의 숨을 담아 ... ...
1.
공중
에 떠다니는 초고속열차 시대 개막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5백km 이상의 속력으로
공중
에 떠서 주행하는 초고속열차를 타고 여행하게 될 날이 멀지 않았다. 초전도 응용기술 덕분이다. 초전도 현상이란 무엇이며, 그 연구는 현재 어디까지 와 있을까. 2020년 어느 날, 가정주부 K씨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거실 벽에 붙어있는 디지털전력계를 체크했다. ... ...
Ⅰ첨단장비가 펼치는 격전의 무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주심의 호출기를 진동시킨다. 하지만 미래에는 심판이 없어질 것이다. 경기장 바깥쪽과
공중
에 설치된 적외선 장비로 센서를 장착한 선수의 위치를 파악할 것으로 예상된다.[ 선수점검 ] 미래에는 선수의 몸에는 각종 센서와 장비가 부착돼 있어 컴퓨터를 통해 선수의 몸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 ...
국내 최초 렌티큘러 표지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딱지 선물로 유행하기도 했다. 또는 만지면 그냥 평면 카드인데, 그 안의 그림이 마치
공중
에 떠있는 것처럼 보여서 그 그림을 손가락으로 눌러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번 과학동아에서 마련한 표지의 그림처럼 말이다.이같은 그림 카드를 ‘렌티큘러’(lenticular)라고 한다. 렌티큘러라는 말은 ... ...
Ⅲ 각양각색 경기장 지붕에 숨은 의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구를 반으로 잘라 놓은 모습이다. 관중석 뒤에서 그라운드 쪽으로 넘어질 것 같은 지붕이
공중
에 버티고 있는 이유는 럭비 선수처럼 서로 스크럼을 짜고 있기 때문이다. 종합 경기장으로 지어져 집중력이 다소 떨어지는 경기장의 스케일을 이런 방식으로 극복했다.힘이 흐르는 이치 꿰뚫은 - 전주 ... ...
차세대 전투기 격돌 F-15K vs 라팔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발진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대비해 라팔은 전투기 사이에서도
공중
급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자체 방어하는 시스템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전투에서도 정보가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전투가 벌어지면 전투기는 적군의 전투기와 지대공 미사일 등 다양한 공격에 대응해야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사람과 달리 사진기는 눈(렌즈)이 하나여서 입체감을 제대로 표현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공중
에 뜬 주사위를 막대기로 찌르면 우리 눈에는 주사위 속으로 막대기가 쑥 들어간다. 그러나 이 모습을 사진으로 찍으면 막대기는 주사위가 아니라 그 앞이나 뒤를 찌르고 있다.우리의 눈은 2개여서 왼쪽 ... ...
새처럼 날개짓하는 초소형 비행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2월 눈이 내린 어느날 하얀 눈밭을 가르며 14초를 나는데 성공했다. 지금은 매가 사냥하듯
공중
을 맴돌다 다이빙하는 곡예비행까지 보여준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공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김사장은 삼성테크윈(옛 삼성항공)에서 20년 동안 비행기 엔진을 개발하면서 독자적인 비행기를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따라서 화성탐사 비행기는 지상의 착륙선에서 이륙하기보다는 대기권 돌입과 함께
공중
에서 바로 비행상태로 돌입하게 된다. 이를 위해 비행기는 열보호 덮개 속에서 날개를 접고 있다가 무사히 대기권을 진입하면 날개를 펼치고 건전지를 동력으로 이용해 비행하거나 글라이더처럼 무동력으로 ... ...
제왕의 등장 알리는 징표 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4마리의 신마가 끄는 전차를 타고 하늘을 달렸고, 벨레로폰은 천마 페가수스를 타고
공중
을 날아 괴물 키마이라를 퇴치할 수 있었다. 이후 페가수스는 제우스의 마구간에서 지내다가 죽은 후 하늘로 올라가 아름다운 별자리가 됐다. 가을철에 북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페가수스자리다.별자리 중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