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기
바람
에어
그릇
외기
상황
느낌
d라이브러리
"
공기
"(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미스의 탐구생활 7화] 비행기 엔진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공기
가 순간적으로 팽창하는데, 이때 터빈이 팽창한
공기
를 주변으로 퍼뜨리지요. 이
공기
는 마지막으로 배기부에서 유선형의 테일콘을 지나 밖으로 나간답니다 ... ...
Part 1. 기구 타고 날씨와 우주를 관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실시간으로 전송돼 일기예보를 만드는 데 쓰인답니다. 이때 과학자들은 헬륨처럼
공기
보다 가벼운 기체를 넣는 ‘가스 기구’를 써요. 가볍기 때문에 18~37km 높이까지 올라갈 수 있거든요. 우주 입자와 방사선을 관측하는 데도 최고!과학자들은 기구를 띄워 우주에서 날아오는 각종 입자와 ... ...
[과학뉴스] 화성에는 돌풍과 함께 눈이 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대기는 갑자기 차가워지며 지표면으로 내려오는 돌풍을 만들어요. 차가운
공기
는 따뜻한
공기
보다 무겁기 때문이지요. 이때 구름 속 얼음 결정이 최대 초속 10m 정도의 돌풍을 타고 지상으로 떨어지며 화성에도 눈이 내리게 된답니다. 연구를 이끈 에이메릭 스피가 교수는 “화성의 눈은 대기가 ... ...
[쇼킹 사이언스] 하늘에 UFO가 떴다?! 렌즈구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만들어지지 않는답니다. ● 이슬점 :
공기
가 냉각되어 응결이 시작되는 온도. 항
공기
조종사들에게 렌즈구름은 매우 무서운 존재예요. 움직이지 않고 하늘에 가만히 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렌즈구름이 있다는 것은 그 지역에 강한 난류가 발생하고 있다는 뜻이거든요. 비행기가 난류를 ... ...
Part 5. 미래 우주여행은 엘리베이터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7호
같은 특수 케이블로 연결돼 있답니다. 고도 400km 부근에는
공기
가 아주 희박해요. 이
공기
의 저항에 케이블이 어떻게 흔들리는지, 어떻게 늘어뜨렸을 때 가장 안정적인지 분석하고 있답니다. Q. 이 실험은 우주 엘리베이터와 무슨 연관이 있나요?우주 엘리베이터를 실현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가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또 끓는점이 영하 268°C로 매우 낮아서 초저온 과학 실험에 쓰여요. 때론 잠수부의
공기
통에 질소를 대신해 헬륨을 사용하기도 한답니다.이렇게 쓸모가 많은 헬륨은 누가, 언제 발견했을까요?헬륨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프랑스의 화학자 ‘피에르 장센’이에요. 그는 1868년 8월 18일, 개기일식이 ... ...
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온다!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Part 3. 물과
공기
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 ...
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날아온 뜨겁고 건조한
공기
덩어리가 한반도에서 꼼짝 못하게 된 것이지요. 이 두
공기
덩어리가 오래 머물면 머물수록 한반도는 점점 더 뜨거워진답니다.도시 열기 여기 멈춰! 열섬 현상빽빽한 건물이 들어서는 도시화는 폭염을 더욱 강하게 해요. 실제로 여름철엔 대도시인 서울이 주변의 교외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온다!Part 1. 로봇이야, 물고기야? 로보피시Part 2. 인어가 나타났다! 로봇인어Part 3. 물과
공기
를 자유자재로~! 수륙양용 드론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Part 5. 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수중로봇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이들은 새로 발견한 기체를 플로지스톤 이론으로 해석해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간
공기
’라고 불렀어요. 당시 과학자들은 ‘플로지스톤’이 종이나 숯처럼 잘 타는 물질에 포함돼 있다고 생각했지요.이 기체에 산소라는 이름이 붙고 그 성질이 밝혀지게 되는 것은 이후 프랑스의 화학자 ‘앙투안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