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31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하 150도가 됐는데도 물이 얼지 않는다고?
2015.09.23
22일자에 발표했다. 영하 150도에서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는
발견
된 적이 있지만 실제로 실험을 통해 직접적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물은 화학적으로 매우 간단한 분자지만 물리적 특성이 복잡하다. 특히 물은 어는점 이하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과냉각’ ... ...
농작물 품질향상 가능… 식물 종자 어떻게 싹트는지 알아냈다
2015.09.23
싹을 틔운 씨앗의 모습. - 포항공대 제공 씨앗은 성장하기 좋은 환경이 주어져야 싹을 틔우고, 그렇지 않을 때는 씨앗 상태로 휴면해야한다. 만일 씨앗이 성급히 싹을 틔우면 이후 많은 열매를 맺지 못하고 농작물 품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벼가 때 이르게 싹을 틔우는 ‘수발아 현상’이 대표적인 ... ...
혈관 찾기 도사 ‘모기’의 신비 풀렸다
2015.09.23
또 그 속에서 동물 피가 내는 휘발성 냄새 성분에 강하게 반응하는 후각수용체 2개를
발견
했다. 모기에 이들 수용체가 나오지 않도록 처리하자 피부에 앉아서도 혈관을 잘 찾지 못하고 피를 다 빠는 데도 3~15분이나 걸렸다. 일반 모기가 피를 배불리 빠는 시간은 30초면 충분하다. 권 교수는 “두 ... ...
적게 먹으면 오래 산다? 이유 있었네
2015.09.22
연구팀은 효모를 대상으로 영양분 섭취를 줄였더니 수명이 20% 이상 늘어나는 현상을
발견
했다. 이 과정에 써투 단백질이 활성화되고 이 때문에 노화 관련 유전자가 있는 DNA가 작동하지 못하게 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DNA는 실패처럼 ‘히스톤’에 감겨 있는데, 써투 단백질이 히스톤에 화학적 ... ...
휘발유 대체물질 ‘바이오부탄올’ 상용화 가능성 높였다
2015.09.22
입체 구조를 분석한 결과 일반 미생물에서는
발견
되지 않는 독특한 구조를
발견
했다. 이 구조를 분석한 결과 사이올레이즈가 산소원자를 붙였다 떼는 ‘산화-환원 스위치’ 역할을 하면서 미생물의 생산 활동을 돕는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성과를 응용해 효율이 높아진 ... ...
춘천 메르스 의심환자, 1·2차 검사 결과 모두 ‘음성’…메르스 확진 79일째 ‘無’
동아닷컴
l
2015.09.22
의심환자, 1·2차 검사 결과 모두 ‘음성’…메르스 확진 79일째 ‘無’ 강원도 춘천에서
발견
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의심환자가 2차 검사에서도 음성 판정을 받았다. 이로써 메르스 확진 환자는 지난 7월 4일 이후 79일째 발생하지 않았다. 22일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에 따르면 ... ...
머리에 빛 쪼여 알츠하이머병 예방한다
2015.09.21
치료가 불가능했던 알츠하이머병을 고칠 수 있는 단초를 국내 연구진이
발견
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뇌질환이다. 박찬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센터 연구진과 공동으로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 ...
알츠하이머병도 전염 될까?
2015.09.21
걸려 사망한 환자의 뇌하수체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가운데 갈색) 침착이
발견
됐다. 이는 호르몬에 섞여 있던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씨앗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높다. - 네이처 제공 ‘네이처’ 같은 호에 해설을 쓴 독일 튀빙겐대 마티아스 주커 교수는 문제가 여기서 끝난 게 아니라고 ... ...
고지방식 먹고도 건강한 이누이트族의 비결은?
2015.09.21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지방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에서 돌연변이를
발견
했다. 이 돌연변이는 체내에 많은 지방산의 성분을 조절하는 등 효과가 다양했다. 이누이트족에서 100% 나타나는 이 돌연변이는 유럽인에서는 단 2%에게만 나타났다. 또 중국 한족 중 이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은 15 ... ...
노화 시계 되돌리는 새로운 메커니즘 찾았다
2015.09.20
DNA 구조를 ‘TALT’라고 이름 붙였다. 이 교수는 “사람의 암 세포에서도 TALT 구조를
발견
한다면 암을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이전
874
875
876
877
878
879
880
881
8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