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스페셜
"
중
"(으)로 총 8,73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2.09
덧붙였다. 김규태 동아사이언스 기자 kyoutae@donga.com 이준승 원장의 ‘이것만은 꼭!’ △
중
계연구(B&D)로 연구와 산업을 연계하자 △개방형 혁신체제로 선진국에 대항하자. △성공 사례를 창출해 사회적 신뢰 구축하자. 이준승 원장은 - 2008년 8월~현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 - 1986년~2008년8월 ... ...
“농림수산식품 R&D, 발상의 전환 절실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2.08
이제 5개 위원회가 전쟁을 치르듯 순위를 정해서 기획재정부로 넘길 계획입니다. 38개
중
3분의 1만 통과해도 성공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는 모든 부처가 정책 기획으로 승부하는 치열한 판이 됐습니다. 오늘 좌담회에서 논의한 내용들이 향후 농림수산식품분야 R&D 정책 발전에 큰 거름이 될 ... ...
“화이트 바이오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0.01.25
없는 사람은 아예 인재로 치지 않는다는 뜻이에요. 이런 가치관으로 인재를 키우니 나
중
에 협동 연구가 잘 되는 거죠.” 이 위원장은 의외로 ‘초등학교 교육’을 강조했다. 안식년을 맞아 미국에 가서 초등학생 자녀를 가르치는 걸 봤는데 초등학교 때 가장 강조하는 게 협동이라는 거였다고 한다. ... ...
“농업, 첨단 산업으로 진화
중
”
동아사이언스
l
2010.01.14
농업정책과장 1999년 농촌진흥청 종자관리소장 2000년 농림부 농업정보통계관 2001년
중
앙대 경제학 박사 2003년 주미대사관 참사관 2007년 농업연수원장,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 2008년 기획조정실장 2009년 농촌진흥청장 --------------------------------------------------------------------------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 ...
“생명공학 신속함 갖춰야… IT와 합하면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0.01.11
바이오센서를 이용하여 즉석에서 진단하는 현장진단이 가능해 진다. ETRI가 개발, 보급
중
인 당뇨폰 등이 좋은 예. 병원을 찾아야 가능했던 당뇨환자의 검진서비스가 휴대전화를 가지고 다니는 것만으로 가능해지는 기술이어서 시장에서 호평 받고 있다. 김 원장은 “이미 ETRI는 10년 전부터 바이오 ... ...
“생명과학자가 쉽게 부자 되는 법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2.14
원이니 생명연 전체 자본금의 48%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이 기업에서 수익이 발생하면 그
중
절반 정도의 액수가 그대로 생명연의 수익이 되는 셈이다. 이 때 출자된 것이 바이오나노연구센터에서 개발된 바이오 진단 기술이다. 정밀한 당뇨측정이 가능해 1조원 규모의 당뇨 측정기 시장에서 두각을 ... ...
“오창-오송에는 공장보다 연구소가 들어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11.24
현재 보건복지가족부 천연물신약연구개발정책심의회 위원 2008년~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청
중
앙약사심의위원회 위원 2009년~현재 한국생약학회 수석부회장 (2010년 회장) --------------------------------------------------------------------------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 ...
R&D전쟁 잘 하려면 ‘전략지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27
풍성하게 해야 산업적으로 파급될 가능성도 크기 때문. 전 센터장은 “대학이
중
점적으로 해야 할 것은 기업에서 하지 않지만 국가에서 필요한 기초연구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대학에서도 응용개발연구를 하는 곳이 많다”고 지적했다. 또 “대학이 기초연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대학원생을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사람의 한 걸음이 더
중
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경 교수의 ‘이것만은 꼭!’ ○ 성과
중
심주의로 모든 연구를 판단하지 말자! ○ 박사생 할당제는 오히려 우수한 인력의 연구를 막을 수 있다. ○ 새로 부임한 교수들이 안정적으로 연구할 수 있도록 적정한 지원을 해야 한다. 이상경 교수는 1993년 ... ...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9.29
○ 소통이 답, 생명과학자과 국회, 정부가 함께 모이는 토론문화 정착시키자 ○ 선택과 집
중
필요, 전문가 집단이 함께 모여 최적의 생명공학 정책 구성해야 -------------------------------------------------------------------------------- 이상민 의원은 1981년 충남대 법과대학 법학과 (학사) 1992년 제34회 사법시험 합격 ... ...
이전
868
869
870
871
872
873
8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