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많지 않다. 별 이득이 없다는 뜻이다. 파리지옥풀은 작은 곤충이 잎을 빠져나간 후라도
바로
사냥태세를 갖추지 않는다. 자극이 있은 후 20분 정도가 경과한 후에야 잎을 연다. 이는 살랑이는 바람이나 작은 곤충과 같은 불필요한 자극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의 시간을 벌고자하는 속셈이다. 결국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로봇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감정을 가진 기계일 것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우리는 한가지 문제에 직면한다. 감정을 느끼기 위해선 감정을 느끼는 주체인 자아가 선행돼야 한다. 과연 우리는 자아를 가진 피조물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을까.하나의 인격체로 인정해야 하나1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변신을 꾀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개발되고 있는 홈로봇의 중요기능 중 하나가
바로
청소다.외국에는 이미 청소로봇이 시장에 나와 있다. 미국 P로보틱스사가 만든 청소로봇 ‘싸이’(Cye)는 컴퓨터로 집안 구조를 그린 지도 위에 청소할 위치를 지정해주면 스스로 그곳을 찾아가 청소한다. 로봇이 ... ...
① 철통 경계 미국 본토가 뚫린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해명했다. 한편 미국 펜타곤 건물의 경우 국내선 전용인 로널드 레이건 공항이
바로
인근에 있어 비행금지구역이 좁았기 때문에 방어하기 쉽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만일 전투기가 제때에 출격했더라도, 자국민을 수십-수백명씩 태운 여객기가 세계무역센터나 펜타곤으로 돌진해갈 때 과연 테러 ... ...
10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뜨는 둥근 달민족의 명절인 추석은 10월 1일이다. 이 날에는 하늘 높이 떠있는 보름달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대개 우리는 추석에 떠있는 달을 보름달로 알고 있지만 엄밀히 따진다면 이날의 달은 보름달이 아니다. 실제 달은 10월 2일 정확히 밤 10시에 보름달이 된다. 그러므로 우리가 보는 추석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아이글러를 비롯한 IBM 연구원들이 원자 하나하나를 옮겨 ‘IBM’이라는 글자를 쓴 것이
바로
그 예다. SPM을 이용한 리소그래피의 한획을 그은 사건이었다.네이처지에 발표된 이 실험에서, 아이글러는 STM 탐침을 이용해 크세논 원자 하나하나를 옮겨 니켈 표면에 글씨를 쓰는데 성공했다. 이 원자단위 ...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뿌리째 뽑히기도 했다. 12인승 승합차는 3번 회전한 뒤 뒤집혀버렸다. 그런데 어떤 집은
바로
몇m 옆에 있었는데도 전혀 피해를 입지 않았다.가구공장을 운영하는 주민 정민규씨 “몇초 동안 엄청난 바람이 불어 집에 숨어있다가, 바깥으로 나와보니 공장이 절반쯤 파괴돼 있었고, 공장의 문짝이 20m ... ...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공짜로 일하는 광촉매다양한 환경보전기술 중에서 눈에 띄는 새로운 기술이 있다.
바로
빛에 의해 반응하는 ‘광촉매’를 바탕으로 한 기술이다. 광촉매는 빛에너지를 이용해 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염물질을 직접 분해하는 놀라운 능력을 갖고 있다.기존의 환경보전기술의 경우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 ...
갈증에만 의존해 물 마시면 위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따라서 평소에는 과일주스를 마시는 것이 더 좋다.운동중엔 마시면 안되는 음료가 있다.
바로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 우유 등이다. 흡수가 느려 신속하게 수분을 공급하지 못하고 위 팽만감과 트림의 증세로 신체 움직임을 더디게 만들기 때문이다. 또 염분, 나트륨 성분 탓에 고혈압이나 신장병 ... ...
풍선으로 만든 축구공 분자모형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스몰리는 어느날 점심 식사 후에 식탁 위에서 종이를 잘라 이리저리 맞춰보다가
바로
축구공의 꼭지점이 60개임을 깨닫고, 탄성을 질렀다고 한다.그러니까 ${C}_{60}$은 이 세상에서 가장 작은 축구공인 셈이었다. 이 합성물을 발견한 리처드 스몰리와 로버트 컬, 해롤드 크로토는 이 공로로 1996년 노벨 ... ...
이전
867
868
869
870
871
872
873
874
8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