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일어나면 오일펜스와 흡착포, 유화제를
이용
해 1차 방제를 진행한 뒤 미생물을
이용
해 2차 방제를 시도한다. 권 연구원은 “바지락과 토양 샘플을 분석해 초기 오염상태를 파악하면 이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로 2차 방제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열대바다에 사는 플랑크톤을 연구하는 노 박사는 ... ...
'반 고흐전'의 한국행 비밀을 벗겨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일은 필수다. 약한 조명도 오래 쬐면 독!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수화물편을
이용
해 드디어 한국에 도착했다. 그러나 ‘첩보전’을 방불케 하는 운송작전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무진동 차량에 실려 서울시립미술관에 도착한 작품들은 곧바로 포장을 뜯지 않고 2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그보다 약 100배나 긴 DNA를 합성하는데 성공했다는 것이다.그는 합성한 최소유전체를
이용
해 몇 주안에 합성세포를 만들겠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탄생할 새로운 종의 세포는 ‘실험실에서 만든 마이코플라스마’라는 뜻의 ‘마이코플라스마 라보라토리움’(Mycoplasma laboratorium)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 ...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아이디어도 떠올라요.”곧 시속 5km로 뛰는 휴보2를 선보이겠다는 오 교수는 휴보 기술을
이용
해 실용성 있는 로봇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러면서도 개기일식 관측에 대한 욕심도 감추지 않았다.“2008년 8월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로 개기일식을 관측하러 떠날 생각입니다. 2035년 9월에는 ... ...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 액정온도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붉은색으로, 높은 온도에서는 파란색으로 변한다. 콜레스테릭 액정의 이런 성질을
이용
해 만든 온도계가 바로 액정온도계다.액정온도계는 눈금을 읽을 필요 없이 정확한 온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필름처럼 얇아 활용폭도 매우 넓다. 실험실 비커의 온도를 잴 때 비커 바깥쪽에 액정온도계를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사용자의 브라우저 또는 플러그인이 데이터를 구현해준다일반적으로 서버는 컴퓨터를
이용
해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요즘은 이런 서버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를 뜻하는 말로도 쓰인다 서버는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하고 제어하거나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않도록 해주는 셔터 릴리즈가 필요하다. 셔터 릴리스가 없는 경우 셀프타이머 기능을
이용
하면 셔터를 누른 몇 초 뒤 사진이 찍히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사진을 찍을 수 있다.멋진 배경으로 구도를 잡았으면 노출시간을 결정한다. 카메라가 자동으로 빛의 양과 노출시간을 결정하는 자동모드를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말했다.하지만 한국항공대 장영근 교수는 “일반적인 2~3톤급 달 탐사위성은 우리 로켓을
이용
해 2020년에 발사하기 쉽지 않다”라며 “외국 발사체에 우리 달 탐사위성을 실어 보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외국 로켓으로 달 탐사선을 보내더라도 우리가 달 탐사를 하는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유전자를 넣어 발현시키는데 성공했다.이 실험 결과는 지금까지 보고된 인공세포막을
이용
한 여러 연구들에 비해 상당히 진보한 내용이다. 하지만 아직도 실제 세포 안에서 일어나는 일을 완벽하게 모방했다고 보기는 어렵다.유전물질이 자기복제를 하거나 리포솜이 분열을 할 수 있는 것도 아닐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환자의 고충도 만만치 않다. 암은 주로 항암제로 치료한다. 그런데 최근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
해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암세포 중 ‘고형암’(solid tumor)는 수많은 세포가 단단하게 뭉친 덩어리다. 이 때문에 고형암이 있는 곳은 암세포가 호흡하느라 산소를 모두 소비해 무산소 환경이 ... ...
이전
866
867
868
869
870
871
872
873
8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