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류"(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 달 착륙 계산한 '히든피겨스'주인공 캐서린 존슨 우주 별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2020.02.25
- 참여했다. 1962년 수행한 존 글렌의 미국 최초 유인우주궤도비행, 1969년 아폴로 11호의 인류 최초 유인 달탐사 임무 등에 참여했다. 특히 글렌이 NASA가 새로 도입한 전자식 컴퓨터의 궤도 해석 결과를 믿지 못해 존슨에게 계산 결과를 다시 점검해 줄 것을 부탁한 일화와, 한치의 오차도 없었던 달탐사 ... ...
- 코로나19는 WHO가 2년전 경고한 '질병X'인가동아사이언스 l2020.02.24
- 인간에게 전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코로나19 같은 경우에도 이미 인류가 잘 알아왔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일종이다. 인간에게 전염되는 사람코로나바이러스는 대개 기침이나 콧물 정도의 가벼운 감기 증상만 나타내는 반면, 코로나19는 사스와 메르스처럼 변종이다. 사람코로나바이러스보다 ... ...
- [인류와 질병]판데믹 시나리오 '이벤트201'이 주는 교훈2020.02.22
- October 8, 2019.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 ...
- [코로나 사태 한 달]전문가들 "닥치지 않는 위험 대비하는 전략으로 바꿔야"동아사이언스 l2020.02.19
- 수 있는 최악의 상황에 대한 전략을 짜야 한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코로나19는 지금껏 인류가 한 번도 맞닥뜨려보지 못한 새로운 전염병이므로 오늘까지 알고 있던 정보가 언제든 바뀔 수 있다"며 "공기전파 가능성과 무증상 상태 전염성 등이 여전히 확실하지 않은 만큼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 ...
- [이덕환의 과학세상]야생동물 식습관만 탓할 일 아니다2020.02.19
- 인구가 늘어나고, 이동이 잦아지면서 바이러스의 감염 기회가 늘어난 것이 진짜 문제다. 인류가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언제나 패배했던 것도 아니다. 우리의 면역체계만으로 바이러스를 성공적으로 물리칠 수 있었다. 공격적인 변종 바이러스는 인간의 집단지성과 과학기술에 의해 영원히 ... ...
- [AAAS연례회의]빌 게이츠 "과학적 진보 극적이며 만족스러워…AI·유전자가위 주목해야"동아사이언스 l2020.02.16
- 빌 게이츠 창업자는 14일(현지시간)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회의에서 참가해 기조강연을 진행했다. 시애틀=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과학적 진보가 이뤄낸 결과는 매우 매우 극적입니다. 지금까지의 결과는 매우 만족스러웠고 성공적이었습니다. 하지만 과학은 여전 ... ...
- [인류와 질병] 전염병과 의사의 끝나지 않는 전쟁2020.02.15
- ; 한수민 옮김.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진화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행동》를 옮겼고, 《재난과 정신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 ...
- [AAAS연례회의]스티븐 추 "깨끗한 전기 10~20년내 나온다…다른 청정에너지 산업도 자극"동아사이언스 l2020.02.15
- 있다며 낙관적인 견해를 나타냈다. 추 회장은 “역사가 말해주듯 우리는 과학을 통해 인류가 마주한 난제들을 해결했다”며 “미국의 곡창지대인 아이오와 출신에 농업으로 유명한 미네소타대를 졸업한 식물병리학자 노먼 볼로그는 질병에 강한 밀을 개발해 식량문제를 해결하며 이른바 ...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동아사이언스 l2020.02.15
- 너머 얼음과 암석 덩어리로 이뤄진 소행성 무리인 카이퍼벨트 속에 있다. 아로코스는 인류가 우주선을 보내 탐사한 천체 중 가장 멀다. 과학자들은 이 천체에서 45억 년 전 태양계 행성의 비밀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처음엔 ‘알고 있는 세계 너머’라는 의미의 라틴어인 ‘울티마 ... ...
- 30년 전 우주에서 포착된 '창백한 푸른 점'동아사이언스 l2020.02.14
- 않고 늘어나 보인다. NASA 제공 카메라의 전원을 끈 보이저 1호는 긴 여행을 거쳐 2012년 8월 인류가 만든 물체 중 최초로 태양계 밖 성간 공간에 들어섰다. 1977년 발사된 보이저 1호는 발사된 지 43년이 지났음에도 우주선(線)과 플라즈마를 관측하는 장비, 자력계와 저에너지 하전 입자 관측기 등을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