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스페셜
"
셈
"(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부자연 선택설'로 진화한 박테리아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19.01.05
진화가 다윈의 ‘자연 선택설’을 따른다면 방향적 진화는 ‘부자연 선택설’을 따르는
셈
이다. 탄소수소(C-H) 결합을 탄소간(C-C) 결합으로 바꾸는 것은 유기 분자를 만드는 새로운 전략이다. 아널드 교수는 박테리아 내에서 이러한 변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진화한 사이토크롬 P450 효소를 ... ...
뉴호라이즌스號, 새해 첫날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플라이 바이'
동아사이언스
l
2019.01.01
근접해 탐사할 준비를 하고 있다. 인류의 우주탐사 역사의 새로운 이정표를 찍게 되는
셈
이다. 뉴호라이즌스호가 향하는 카이퍼 벨트의 소행성 '2014 MU69'는 '울티마 툴레'로 불린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시대 말로 바꾸면 ‘극복의 땅’이며, 당시 알려진 세상의 경계에 해당하는 먼 북쪽 지역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바로 퇴치하기 때문이다. AAV가 사람의 면역세포를 대신해 더 효과적인 항체를 만드는
셈
이다. 물론 이 기술이 사람에 적용될 때까지는 갈 길이 멀다. AAV가 안전하다고는 해도 아직 보편적으로 쓰일 만큼 신뢰를 얻은 건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인체의 면역계가 조합항체를 항원으로 인식해 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서기 828) 당나라에서 차나무가 들어왔다. 우리나라 차의 역사는 1200년에 조금 못 미치는
셈
이다. 실제 하동과 보성, 제주 등 주산지에서 재배된 차나무 가운데 다수가 이 지역에 자생하던 야생 차나무에서 선발한 품종이고 이들 모두는 중국종이다. 게다가 ‘삼국유사’에 실렸다는 허왕후 차나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나노입자는 미세먼지의 몸통이지만 인체 유해성의 관점에서는 ‘트로이의 목마’인
셈
이다. 디젤차에서 나오는 미세먼지를 도식화한 그림이다. 검댕 나노입자(검은색) 표면에 탄화수소/황산화물(녹색), 금속 입자(파란색)가 달라붙어 있다. ‘앙게반테 케미’ 제공 불완전 연소가 출발점 ... ...
우주 전문가들 "한국도 이제 우주 주권 갖게 될 것"…지속투자 강조
2018.11.28
있느냐 없느냐가 시장 진입을 좌우하는데 대형 로켓 엔진 개발로 이제 교두보를 마련한
셈
”이라고 말했다. 인공위성 전문가인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인공위성을 해외에서 발사하며 유출되는 비용이 크다”며 “누리호의 성공을 통해 그 비용을 감축시킬 수 있으며 이는 ... ...
우주발사체용 로켓엔진이란 무엇인가…10개국만 보유한 극비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때문에 실제로는 공이 더 필요하다. 결국 로켓의 무게 대부분은 연료가 차지하게 되는
셈
이다. 거대한 로켓에 상대적으로 조그마한 위성 하나를 실어 날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번 시험발사체의 무게는 51.2t이다. 연료를 143.5초간 연소하며 하늘을 날게 되는데 이때 쓰는 연료와 산화제의 양은 3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가져옴과 함께 수명도 늘린다는 사실을 보고했다. 바야흐로 노화 연구에 새 지평이 열린
셈
이다. 그러나 한계도 있다. 유전자를 조작해 노화 세포를 선별적으로 없애는 방법은 임상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이런 작용을 하는 약물을 찾기로 하고 세놀리틱이라는 이름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면역학자 찰스 서 교수의 죽음 뒤 일어난 일들
2018.11.21
하면서도 손에서 일을 놓지 않았다. 결국 현재 연구단의 실험설비는 그가 남긴 유산인
셈
이다. IBS가 서 교수에 필적할 만한 후임을 찾지 못해 연구단을 폐쇄하게 됐다는 말은 그를 그만큼 높이 평가하는 것처럼 들린다. 그러나 서 교수와 동료 과학자들이 고생고생해 ‘한 단계 끌어올린 한국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털뭉치(갓털이라고 부른다)가 공기저항을 일으킨다. 씨앗이 사람이라면 갓털은 낙하산인
셈
이다. 민들레 씨앗 대다수는 꽃자루를 떠나 비행을 한 뒤 2m를 채 벗어나지 못하고 땅에 떨어진다. 하지만 운이 좋은 녀석들(날이 따뜻하거나 건조하거나 바람이 불 때)은 100km가 넘게 여행을 하기도 한다.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