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선택"(으)로 총 1,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 그때그때 필요에 의해 (보통 우리의 자존감에 봉사하는 방향으로) 기억의 단면들을 ‘선택적’으로 재활용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나는 정말 어렸을 때 실수도, 미숙함도, 오만함도 없는 사람이었을까? 그리고 지금의 나는 그 때의 나와 정말 아무런 관련성 없이 완전히 다른가? ● “아무래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2017.11.07
- 도처에 있다(주로 사람들이 돈을 더 쓰게 만드는 게 목적). 책에는 사람들이 비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수많은 예들이 소개돼 있는데 ‘이 정도인가’ 싶을 정도로 기가 찬 경우가 많다. 3장 ‘인간은 떼 지어 몰려다닌다’에서 저자들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기대한다고 생각되는 바에 부합하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명이 당시 생존해 있었다. 결국 위원회는 가장 늦은 논문의 저자 세 사람 가운데 한 명을 선택하는 걸 포기하고 두 사람(프랑수아 앙글레르와 피터 힉스)만 선정했다. 세 명 가운데 제럴드 구럴닉이 2014년 78세에, 톰 키블이 2016년(6월 2일) 84세에 타계했다. 따라서 만일 힉스 입자 검출이 3년쯤 늦어 ...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2017.09.17
- 했다. 이런 작은 일로 기죽는 내가 참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럴 때 나의 선택지는 보통 둘 중의 하나였다. 1) 별 일 아니라는 듯 행동한다. 나의 마음은 힘들다고 호소하고 있지만 그냥 무시하고 계속 일에 몰두하거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린다. 2) 억지로 쾌활한 척을 해본다. 빨리 이런 ... ...
-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2017.08.13
- 하게 되고, 그 결과 공감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되려 어려움에 처한 타인을 외면하는 선택을 내리게 되기도 하는 것이다. 예컨대 끔찍한 사건 사고나 불의에 관한 뉴스를 봤을 때 함께 분노하긴 하지만 금새 평정을 찾고 냉철한 판단을 내릴 줄 아는 사람과, 지나치게 감정적인 반응을 하게 되고 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있다. 지난 2010년 ‘사이언스’에는 SN-38G를 SN-38로 바꾸는 장내미생물 효소의 작용만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물질을 찾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암에 걸린 생쥐에게 이리노테칸과 억제제를 같이 투여할 경우 항암제 부작용이 훨씬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이 억제제가 임상에 적용돼 현재 쓰이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2017.07.11
- ‘그런데 천연가스 수급에 문제가 생기면?’ 천연가스에 올인하는 게 위험한 선택일수도 있지만 상황을 보면 그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미국과 캐나다에서 셰일가스가 채굴되는 등 천연가스 매장량이 아직은 여유가 있는데다 각국의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올라갈수록 석탄은 물론이고 ... ...
- 당신에게 1년의 시간만 주어진다면 무엇을 할 것인가?2017.06.24
- & Blackie, 2013). GIB 제공 우선 주변 사람들 말에 흔들리기보다 그냥 자기가 원하는 걸 선택하는 모습을 보인다 (Hicks et al., 2012).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며 즐겁고 행복한 일을 하는데 열중하는 반면 싫은 일은 잘 하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인간관계도 마찬가지다. 함께 있을 때 즐거움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2017.06.13
- 게임으로, 생물의 모든 특성은 칼로리를 소모할 때 얻는 대가를 최대화하기 위해 자연선택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 식욕 조절이 관건 운동이 살 빼는데 별 효과가 없다는 사실에 실망할 수도 있지만 어찌 보면 다행일수도 있다. 하기 싫은 운동을 안 해도 되기 때문이다(운동 마니아가 아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2017.05.24
- ‘불관용의 몸’인 이유다. 면역관용 현상을 오랫동안 고민하던 버닛은 어느 날 클론선택이라는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즉 개체 발생 과정에서 유전자 재조합으로 각각 고유한 항체를 만들 수 있는 수백 만 가지 면역세포가 만들어지는데 우리 몸의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세포(클론)는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