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계
화학
뉴스
"
화학기계
"(으)로 총 946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쪼여 성분분석 ‘광학기술’… 미생물 이용한 ‘대사공학’…
2015.10.26
폐금속유용자원재활용기술개발사업단 제공 “쓰레기 처리의 핵심은 ‘선별 기술’입니다. 엉망으로 섞여 있는 대량의 생활 쓰레기 중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만 기계로 골라내는 거죠. 이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쓰레기 처리 방식도 큰 폭으로 변화할 겁니다.” 환경부 산하 폐금속유용자원재 ... ...
레이저 쪼였더니 녹슨 금속이 원래대로 말짱
2015.10.12
고승환 서울대 교수 -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녹슨 금속을 재활용해 전극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정 기술을 개발했다. 고승환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와 한승용 미국 일리노이대 박사, 양민양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강봉철 금오공대 기계시스템공학과 교수 등이 참여한 ... ...
60배 더 잘 늘어나고, 470배 더 튼튼한 태양전지
2015.10.12
김범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왼쪽)와 김택수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 KAIST 제공 유기태양전지는 신문을 인쇄하듯 간단한 공정으로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은 물론 유연하고 부드러워서 차세대 플렉서블 태양전지로 각광 받고 있다. 하지만 내구성이 약해 상용화가 어려웠다. 글로벌프론티 ... ...
[가을, 충청으로 떠나다]3D 프린팅·아빠와 드론 날리기 체험
동아일보
l
2015.09.24
[동아일보] 미래가 보이는 과학의 세계로!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 10월 17일부터 5일간 열려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은 대덕연구단지 조성 20여 년 만인 1993년 개도국에서는 처음 열린 대전 엑스포를 계기로 2000년 시작됐다. 학생들의 과학교육에 대한 관심과 시민들의 과학적 역량을 높여 과학도시 ... ...
접을 수 있는 고효율 태양전지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2015.09.20
연세대 제공 태양광 발전장치를 종이처럼 접거나 둘둘 말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박철민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차세대 반도체 물질인 ‘티엠디(TMD)’를 이용해 유연한 수광(受光)소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티엠디는 여러 층이 ... ...
투명 디스플레이 개발 이끌고 환경오염도 막고
2015.09.10
은나노 입자 측정기술을 개발한 김덕종 박사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물 속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은(銀)나노 입자 농도를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은나노 제품은 각종 화학약품 개발 등에 유용하지만 농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 산업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김덕종 한국기계연구원 나노 ... ...
잃어버린 효모의 기원을 찾아서
2015.08.17
대략 150년 전까지 누구도 효모가 뭔지 몰랐다. 하지만 인류는 효모가 거기 있는 줄도 모른 채 효모에 의지해 살아왔다. 완전한 무지 아래 우리는 효모를 파트너로 삼았다. 효모가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전혀 몰랐기 때문에 발효과정은 기적으로 보였다. - 아담 로저스, ‘프루프’ 천변 산책을 하다 ... ...
휘는 태양전지 값싸고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찾았다
2015.08.11
금속 나노결정에서 제조한 나노잉크를 발라 박막태양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을 표현한 그림. - KIST 제공 종잇장처럼 얇은 태양전지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태양전지 상용화에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도권 한국과학기술연 ... ...
북한은 숨은 ‘수학 강국’일까
2015.08.07
올해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나란히 종합 3위와 4위를 기록한 남한과 북한 청소년들. 시상식이 끝난 뒤 함께 기념촬영을 했다. 북한은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를 따내 역대 최고 성적을 거뒀다. - 대한수학회 제공 “북한 청소년들은 수학 공부를 전투적으로 합니다. 대학 진학을 ... ...
분단 70년, 과학 용어 비교..."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5.07.28
'신상선에 병이 생기면 한선에서 땀이 많이 난다’ , ‘회리치는 물의 에네르기는 코시누스 모양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북한의 과학 교과서에 나올 법한 문장을 가상한 것이다. 보다시피 웬만큼 과학을 안다는 사람에게도 ‘외계어’ 수준이다. 남북이 분단 70년 만에 이렇게 많은 차이를 가지게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