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식
스타일
형식
유형
타입
형님
종류
d라이브러리
"
형
"(으)로 총 1,259건 검색되었습니다.
하이텔 단말기 먼지 쌓인 채 천덕꾸러기로 전락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최근에 발표된 IIB
형
은 외관에서 자판크기를 노트북 수준으로 바꾸었다.그러나 가장 최신
형
의 하이텔 단말기 기능은 요즘 그 흔적을 찾아보기 조차 어려운 XT에도 못미친다. 게다가 1천2백 bps 모뎀과 2천4백bps 모뎀이 시장에서 사라지고, '적어도' 14.4k bps 팩스 모뎀이 주종을 이루는 상황에서 하이텔 ... ...
아버지를 찾았습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케이크에 초를 꽂고 불을 막 켜기도 전인 이른 새벽에 또다시 현장으로 달려가셨다.이번
형
생일에도 참석할 수 없을 것 같다는 말씀을 어머니로부터 전해 듣고 우울한 기분을 풀 겸 삼촌 ID를 이용해 천리안에 들어갔다. 그런데 잘 알려진 여론광장인 '나도 한마디' (MY WORD)란에 우연히 들렀다 갑자기 ... ...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1.시공간이 축소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단말기와 PC 등 단품판매에 주력해 왔던 한국IPC도 자사의 서버를 중심으로 주문
형
화상회의 시스템 등 솔루션 제공사업에 나선다고 밝혔다.이처럼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는 인터젯 화상회의 시스템은 저렴한 가격대로 폭넓은 이용자와 화상전화를 할 수 있는 장점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다.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방어용 덮개 역할까지 하는 셈이다.눈이 떨리는 현상눈꺼풀(특히 윗쪽)이 갑자기 떨리는
형
상은 누구나 한 두번쯤 경험했을 것이다.이를 안검진전(lid tremor)이라고 하는데,안검(눈꺼풀)의 근육이 길항근과 함께 번갈아 수축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움직임으로 몸이 피로할 때나 또는 ... ...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2.집안에 하버드 강의실, 산간벽지에 서울대 병원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모두 1백72시간. 그러나 T1급 전용회선을 통해 연결된 이들 학교에는 각 교실에 33인치 대
형
모니터와 카메라, 마이크 등이 갖추어진 룸현 시스템으로, 설치비만으로 모두 9억원이 들었다. 이 정도의 비용이라면 원격화상교육 시스템이 전국의 벽지 학교에 모두 갖추어지기에는 아무래도 힘들다는 것이 ... ...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충분한 이유가 된다.창작용 홈소프트웨어는 시 그림 사진첩 슬라이드쇼 만화 등 어떤
형
태이든 작품을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숨어 있는 재능을 키우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이를 '패러독스'라고 부른다. 그러나 실제 결과는 우주선을 탄
형
이 나이를 적게 먹는 것으로 나타난다.특수상대성이론의 진짜 주인특수상대성이론을 누가 만들었나 하는 것이 노쟁에 오른 적이 있었다. 1990년 한 신문에 "특수상대성이론의 공은 아인슈타인의 첫째 부인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쌍둥이 패러독스는 빛과 비슷한 속도로 날아가는 쌍둥이의
형
은 지상에 남아있는 동생보다 나이를 천천히 먹는다는 것. 특수상대성이론이 만들어낸 것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E=mc²이라는 공식이다. 이 공식은 훗날 원자폭탄을 만들어냈다.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 ... ...
5백만의 인포테이너 삐삐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수신 가능한 호출기는 우리가 사용하는 것보다 약간 크다.미래
형
삐삐쌍방향 · 소리
형
· · ·앞으로는 일방 통행이 아닌 서로 간단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삐삐도 선보일 예정. 휴대폰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간단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숫자나 문자로만 메시지를 보여줬지만 ... ...
목소리로 건강 체크한다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질환이나 성대 이상이 소리를 통해 진단될 수 있다. 일단 목소리의 이상을 느낀 의사는 소
형
카메라가 달린 성대경(聲帶鏡)을 환자의 목에 투입한다. 이때 환자에게 높은 음의 '이' 소리나 '애' 소리를 내게 한다. 그러면 성대를 덮고 있는 후두개(喉頭蓋)가 위쪽으로 열려 탄력 있는 두 줄의 인대(靭帶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