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극한환경 속 해저 모듈 첨단소재 옷 입고 버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줘요. 그래서 압력이 높은 해저에서도 안전하지요. 또한 돔 구조는 하중을 지탱할 내벽이 필요하지 않아서, 최소한의 건설 재료로 최대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요.한편, 바닷속은 염분이 많아 금속이 쉽게 부식됩니다. 상시 바닷물에 노출되는 해저 모듈은 부식을 막기 위해 금속 대신 ‘탄소 섬유 ... ...
- [기획] 음식은 과학! 미래의 식탁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요리가 완성되었습니다. 맛도 좋지만, 음식을 먹는 사람의 건강 정보와 취향을 파악해 필요한 영양소가 풍부하게 들어간 요리지요. 식품 산업이 로봇과 인공지능 등 첨단 기술과 만난 ‘푸드테크’ 덕분입니다. 로봇이 치킨을 튀겨주고, 3D 프린터에서 원하는 음식을 프린트해 차려낸 미래의 식탁을 ... ...
- [기획] 내 맘대로 만들어 먹는다 3D 식품 프린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활용할 수 있도록 15년 이상 상하지 않고 장기 보관이 가능한 새로운 우주식량이 필요했거든요.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이진규 교수는 “단백질이나 녹말 등 음식 재료를 가루로 만들면 오래 보관하거나 옮길 때 매우 편리하며, 이를 프린트해 음식으로 만들면 처리해야 할 음식물 쓰레기가 ... ...
- [핫이슈] 중학교 선생님, 자연수 세제곱 합 공식의 말이 필요 없는 증명 발견했다고?수학동아 l2022년 11호
- 8월 29일, 편집팀에 한 통의 이메일이 날아왔습니다.이성진 서울 양화중학교 수학 선생님께서 ‘자연수 세제곱의 합 공식’의 말이 필요 ... 나 에 제보하면 잡지에 실릴 수도 있고요. 여러분도 직접 나만의 말이 필요 없는 증명을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요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0장. 무한한 사전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불가능하지요. 무한히 많은 대상 중 특정 대상만을 골라내는 작업은 무한히 긴 시간이 필요할 테니까요. 그러나 수학의 세계에서는 이런 작업이 가능한데요. 바로 여러 집합의 모임이 주어졌을 때 각 집합에서 원소를 하나씩 선택할 수 있다는 ‘선택 공리’ 덕분입니다. 선택 공리에 의하면 주어진 ... ...
- [과학뉴스] 파동으로 실시간 충전하는 무선 수중 카메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보를 전송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는 데 상당한 창의성이 필요했다”며 “해양 오염 사진을 촬영하거나, 물고기의 성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기후 변화가 수중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좀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편집장이 허락하는 이달의 꼼지락] 솔로들을 위로하는 물 전기분해 실험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좋아하는 욕심 많은 녀석입니다. 여분의 전자를 냉큼 받고 나니 수소와 전자를 공유할 필요가 없어지죠. 수소 하나를 뻥 차고 수산화 이온(OH-)이 됩니다. 재산, 그러니까 전자를 뺏긴 수소 이온(H+)은 또 다른 수소 이온과 만나 수소 분자(H2)를 이룹니다(2H2O+2e- → H2+2OH-). 한편 건전지의 양극과 연결된 ... ...
- 인공지능의 내일에는 눈과 입, 귀가 모인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나무-사람 시험’처럼 평가자의 주관이 미치는 영향이 큰 경우에 잘 학습된 AI 모델이 필요합니다. 김남규 국민대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교수는 “미술 치료사의 경험과 환경이 시험 결과를 해석하는 데 영향준다는 것은 환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라며 “전문가들의 해석 방법을 적용한 모델을 ... ...
- 2022 노벨생리의학상 I 인류 진화의 비밀 밝힐 타임머신을 만들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6% 정도 갖고 있다. 데니소바인은 오늘날 티베트 사람들에게 고지대에 적응하기 위해 필요한 EPAS1 유전자 변이도 물려줬다. 네안데르탈인 유전체 해독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유럽과 중동, 중앙아시아에 걸쳐 넓은 지역에 살았던 10명이 넘는 고인류의 유전체가 해독된 상태다. 9만 년 전 ... ...
- [특집] 미래의 생활 공간 해저 도시 속 생활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해저 도시는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며, 바다 목장을 활용해 거주에 필요한 자원을 얻는 등 물속에서 에너지와 자원을 자급자족해야 해요. 2026년 1단계 해저 모듈이 완성되면 해저 30m에서 3명의 연구원이 한 달간 생활합니다. 이후 2032년까지 2단계로 수심 100m에 50명이 지낼 ‘대수심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