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로, 머리카락 굵기의 가느다란 유리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유리에 특정 각도 이상의 빛을 비추면 빛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광섬유 내부에서만 반사가 일어나요. 이를 ‘전반사’라고 하지요. 이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없어서 아무리 먼 곳이라도 신호를 빠르게 전달할 수 ... ...
- 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들어갈 때도 경계면에서 빛의 굴절 현상이 나타나요. 이때 다이아몬드로 들어가는 빛이 특정한 각도 이상이 되면, 경계면에서 밖으로 꺾여 나오지 못하고 모두 반사만 하게 돼요. 이런 현상을 ‘전반사’라고 하고, 빛이 전반사할 수 있는 최소의 각도를 ‘임계각’이라고 하지요. 즉, 임계각에 맞춰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그런데 자세히 살펴보니 백자생성순수도의 10차 라틴방진 중 하나는 원소가 10개인 특정 ‘아벨 군’처럼 보이더군요! 전격 비교! 백자생성순수도 vs 아벨 군 위에 최석정이 쓰고 있는 표가 바로 백자생성순수도에 있는 10차 라틴방진, 오른쪽 아래 아벨이 쓰고 있는 표가 아벨 군을 이루는 의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푸앵카레가 떠올린 또 다른 수학 정리가 ‘푸앵카레 재귀정리’입니다. 수학적으로 특정한 조건이 주어진 공간에서 충분한 시간이 지나면 거의 모든 점에서 초기상태로 무한히 계속해서 돌아간다는 내용의 정리이지요. 즉 푸앵카레는 전체 크기가 유한한 공간이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 ...
- [과학뉴스] 카멜레온처럼 색 변하는 전고체 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 10월 21일자에 발표했다. 광결정은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하는 구조다. 연구팀은 광결정에 전기 자극을 줘 광결정 구조의 간격을 조절, 반사하는 빛의 색을 변화시켰다. 전기를 이용해 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광결정 구조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 ...
- [별난이름 정리] 미술관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작품이 전시돼 있다면 다른 방법을 찾아야겠지요. 많은 질문거리를 주는 미술관 문제는 특정 조건에서 해결된 것도 있지만, 아직 풀리지 않은 경우도 있답니다. 자자, 관람객들이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보안 요원 여러분, 어서 위치로 돌아가세요! 작품인 척 위장할 필요까진 없지만, 여러분이 ... ...
- [전지적 수학 시점] 메이플스토리, 내분점으로 방어율을 뚫어라!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비교해서 얼마나 중요한가요? 매우 중요해요. 강한 몬스터를 잡으려면 방어율 무시가 특정 값을 넘어야 피해를 입힐 수 있거든요. 레벨이 높은 캐릭터는 방어율 무시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많으니까 레벨이 낮은 캐릭터가 더 신경써야 할 능력이에요. Q 메이플스토리만이 가진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나눠보면 규칙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기 시작했다”며 “이 규칙성이 특정 색깔을 내게 하는 원천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 선임연구원이 새의 깃털 구조를 광학적으로 분석해 그 결과를 여 교수에게 보내면, 여 교수는 이를 토대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어떤 규칙성이 있는지 찾아내는 ... ...
- part 4. 무한히 많은 도시 여행하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도시를 여행하는 외판원 문제는 ‘NP-완전’이에요. 어쩌면 n의 다항식 꼴로 표현되는 특정 횟수(다항 시간) 안에 풀 수 있는 방법이 없을 수도 있지요. 밀레니엄 문제 중 하나가 ‘P대 NP’인데 대부분의 수학자가 P≠NP로 여기고 있거든요. P는 다항 시간 안에 해결 가능한 문제, NP는 답이 맞았는지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교육과정의 특징은 자체 개발한 ‘미래형 교육과정’이다. 수학을 예로 들면, 특정 주제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배운 뒤 그에 대한 산출물을 만드는 프로젝트 수업이 한 학기 동안 이뤄진다. 올해 1학기의 경우 테셀레이션에 대해 배운 뒤 학생들이 모둠을 구성해 테셀레이션 개념을 활용한 공작물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