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태양"(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미스의 탐구생활] 금성이 반달 모양인 이유를 이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더스카이라이브(theskylive.com/3dsolarsystem)’를 활용해 보세요. 날짜와 시간에 맞는 태양계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한편, 우주를 더 자세히 보고 싶은 친구들은 스미소니언 우주과학교실 ‘천체투영 프로젝터’도 함께 활용해 보세요. 천체의 모습이 담긴 필름 디스크를 프로젝터에 끼우고 ... ...
- [과학뉴스]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전지 개발되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비슷한 효율인 20%대를 유지하면서도 훨씬 얇고 가벼우며 밤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송진동 광전소재연구단장은 “얇고 잘 휘는 구조여서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doi:10.1016/j.nanoen.2018.08.02 ... ...
- Part 1. 세계는 지금 우주 요격 기술 경쟁 중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광속이나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직진하면서 큰 에너지를 운반하는 무기다. 레이저는 태양광과 달리 직진하기 때문에 우주공간에서 산란을 일으키지 않아 에너지를 멀리까지 운반할 수 있다. 그래서 레이저를 위성의 특정 부분에 집중시킨 뒤 큰 에너지로 정밀 타격시켜 손상을 입힐 수 있다.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기준으로 한 ‘역표초’를 시간의 정의로 채택했다. 즉 1초를 ‘1900년 1월 0일 12시에 대한 태양년의 1/31556925.9747’로 정의했다. 역표초는 자전의 불규칙성으로 인한 불확도는 없었지만 불변의 값은 아니었다. 또 정확한 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1967년 제13차 ... ...
- [과학뉴스] ‘빛 지문’ 외계행성 정체 밝힐까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이산화탄소가 많은 대기 때문에 얼음 행성과 비슷한 색을 띤다”며 “이번 분석이 태양계 바깥 외계행성들을 분석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아스트로바이올로지’ 7월 31일자에 게시됐다.doi:10.1089/ast.2017.176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지상 동물 추적 ‘이카루스 계획’ 시작과학동아 l2018년 09호
- ISS에 설치된 이카루스 안테나는 지상의 동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한다. GPS는 태양에너지로만 작동하며, 위치 좌표 외에도 동물의 가속도, 지구자기장에 따른 방향 변화, 주변 기온, 기압, 습도 등을 기록한다. 현재 GPS는 계속 연구 중이며, 2025년 개발이 완료될 예정이다.이카루스 계획의 ... ...
- [Future] Touch the Sun! 인류 첫 태양탐사선 파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말했다. 파커 교수가 태양풍을 주장한 4년 뒤인 1962년 금성 탐사선 ‘마리너 2호’가 태양풍의 존재를 확인했지만, 태양풍은 아직도 베일에 싸여 있는 존재다. 태양풍이 왜 발생하는지, 지구에 도달하는 속도가 왜 제각각인지 아직 이유를 모른다. 태양풍은 초속 약 200km의 느린 속도로 오다가도 ...
- Part 1. 무중력을 이용하라! 우주공장의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전세계 과학자들은 우주공장을 실현시키기 위해 수십 년째 활발히 연구하고 있었답니다.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 외에도 우주공장은 장점이 많거든요. 특히 대기와 중력이 없는 환경이 필요할 때, 우주공장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장소가 된답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다양한 물질의 ... ...
- [Issue] 기상이변 일으키는 태평양의 강력한 기후 엔진 ‘천의얼굴’ 엘니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다양성을 더욱 가중시켰다. 예를 들면 서태평양 태풍 등의 돌발적인 날씨 현상이나, 연중 태양 복사 변화에 따른 계절 주기, 해양의 수십 년 주기 변화, 인도양과 대서양 등 다른 해양 분지와의 상호작용 등도 엘니뇨의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로 엘니뇨 영향 더 ... ...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과학자들 사이에서 ‘핫’한 연구 주제입니다. 전도성 섬유를 옷감과 함께 직조해 태양전지로 활용하거나, 머리카락 굵기의 섬유 센서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리바이스와 구글이 협업해서 만든 ‘커뮤터 트러커 재킷’은 전도성 섬유를 이용해 옷의 원단에 손을 대는 것만으로도 전자기기를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