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초고속열차로 하나 되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해중터널은 지구가 터널을 아래로 당기는 중력과 터널이 물에 뜨려고 하는 힘인 부력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해요. 물에 뜨는 부력 장치에 터널을 연결하는 방법이나 현수교처럼 긴 케이블로 터널을 고정시키는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답니다.실제로 일본에는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길이 53.9km의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가야금의 현을 받치는 ‘기러기발’ 역할을 해요. 기러기발로는 고무줄의 길이와 음을 조절할 수 있답니다.이 외에도 악기를 만드는 방법은 많을 거예요. 자신만의 방법으로 실험하는 모습과 실험 결과를 홈페이지에 올려 주세요. 이번 화에 나온 실험을 직접 해 보아도 좋아요. ... ...
-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방산을 감지하는 여러 수용체가 있다. 설탕을 먹으면 뇌에서 도파민을 분비해 감정을 조절하는 측좌핵과 기타 보상 중추가 자극을 받아 기쁨을 느끼는데, 지방도 이 부위를 강하게 활성화시킨다. ‘배신의 식탁’을 쓴 마이클 모스는 소금, 설탕, 지방을 가장 강력한 맛의 도구라고 말했다.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줄을 매달고 의수 달린 팔을 들어올리면 줄과 연결된 손가락이 펼쳐진다. 팔의 각도만 잘 조절하면 손을 펴고 쥘 수 있다. 특허도 받았는데 실제로 만들지는 않아서, 이 의수가 진짜로 만들어진 것은 1912년이었다.미국의 데이비드 도랜스는 제재소에서 일하다 오른손을 잃었다. 그는 셀보의 의수와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드는 궁금증 한 가지, 왜 하필 홍채일까.홍채는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근육이다. 얇고 수축성이 있는 엽전 모양의 조리개라고 생각하면 쉽다. 동공괄약근과 동공확대근을 이용해 밝은 곳에선 홍채를 조이고(동공의 크기가 작아진다) 어두운 곳에선 홍채를 푼다(동공의 크기가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올리거나 내리고, 미간에서 눈썹내림근과 눈썹주름근, 눈살근 등은 눈썹의 모양을 조절한다. 이외에도 눈 주변 근육은 감정에 따라 눈을 크거나 작게 뜨거나, 눈살을 찌푸리게도 한다.●귀 주변 : 사람은 근육이 거의 퇴화해 흔적기관으로만 남아 있다. 동물은 귀를 움직여 감정을 표현하기도 한다 ...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소음이 없는 진공 공간에서 원하는 소리를 녹음하고, 주파수와 소리의 강도 등을 조절하는 것이다. 가상현실은 실시간으로 빠르게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계산 정확도가 조금 떨어지더라도 상황에 맞는 소리를 구현하는 게 중요하다.게임이나 가상체험을 한다면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소리를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연구에는 ‘자이레이즈(gyrase)’라는 유전자가 선택됐다. 자이레이즈는 DNA의 꼬인 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무엇보다 사람과에 속하는 인간과 다른 유인원의 진화를 보기에 변이 속도가 적당하다(리보솜RNA 유전자는 변이 속도가 너무 느리다!).장내미생물이 물리적으로는 부모나 주변의 ... ...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방식을 채택하고 있지요.참가자들은 새의 속도를 다르게 하거나 파이프의 간격을 조절하며 게임의 원리를 파악했어요. 세곡초 5학년 이동령 학생은 “이전에 게임을 만들 때 썼던 스크래치라는 프로그램은 너무 단순해서 제 생각을 표현하기 힘들었는데, 게임 샐러드는 제가 기획한 걸 더 잘 표현할 ... ...
- [과학뉴스] 세포 운명 결정짓는 대사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분화 상태와 시기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는 뜻이다. 윤 교수는 “대사물질 조절이 암과 퇴행성 질환 등의 난치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