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작"(으)로 총 3,811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3D 푸드 프린터를 개발해 연구하고 있다. 이 교수는 식품나노공학연구실에서 자체 제작한 섬유 제조 장치를 이용해 ‘먹는 실’을 생산한 뒤 이를 실패에 감는 과정을 개발했다.이 과정은 엄지 끝에 풀을 바르고 검지를 붙였다가 떼면 끈끈한 실이 생기는 것과 비슷하다. 섬유 제조 장치 양쪽에 달려 ... ...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미숙한 볼 처리가 나오며 예상했던 다득점 경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FIFA 입장에선 공인구 제작의 의도대로 결과가 나온 셈이겠죠? 조별 예선이 모두 지나고 본격 토너먼트가 남은 지금, 2018 러시아 월드컵을 장식할 텔스타 18이 과연 어느 팀을 웃고 울게 할지, 텔스타 18의 최후의 선택을 받을 팀은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한국 그룹은 다마에서 사용하는 요오드화나트륨(NaI) 성분의 특수한 검67출기를 직접 제작해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다마팀의 실험을 재현하는 데 성공하거나, 아니면 재현되지 않음을 직접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암흑물질 연구에 큰 진전을 이루게 된다. 김 단장은 “지하실험연구단뿐만 아니라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삼는 방식으로 아보가드로 상수를 구하는 방법 중 하나다). 반도체의 주원료인 실리콘은 제작 기술이 발전해 있고, 순도가 높아 단결정을 만들기 쉽기 때문이다. 독일, 이탈리아, 미국, 호주, 일본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10년이 넘는 연구 끝에 2015년 아보가드로 상수를 NA=6.022 140 76×1023 mol-1이라고 ... ...
- 이공계 직업 정보 [ 생명과학 & 생명공학 ]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얼굴 생김새나 키, 비만은 물론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바로 유전자의 위치와 기능을 알 수 있는 ‘유전자 지도’다. 생명정보학자는 유전자에 담긴 정보를 분석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생명정보학은 생명과학과 생명공학뿐 아니라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필요가 있다. 과학기구를 이용한 우주과학 교육 활성화도 필요하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작비와 운용비로 대학에서도 교육과 연구 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천문, 기상, 극지 연구 분야와 협력해서 임무를 개발하고, 공동운용 기술을 축적할 필요가 있다. 국내 가용 연구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는 LAMPS가 사용된다. 일부러 중성자가 많은 원소를 제작해, 무거운 원소가 생겨난 과정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홍 교수는 “이런 식으로 주기율표 118번까지의 원소가 발견됐고, 대부분 가속기를 이용해 얻은 성과”라며“라온을 통해서는 120~130번 대의 무거운 원소들이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개발했어요. 메이로위츠가 마스터마인드를 개발했을 때 여러 게임회사에 찾아가 제작을 부탁했는데, 모두 거절당했어요. 다행히 인빅타 플라스틱스라는 회사가 관심을 보였고, 마침내 보드게임으로 탄생했지요. 마스터마인드 보드판의 각 행에는 작은 구멍 4개와 큰 구멍 4개가 있고, 행은 ... ...
- [과학뉴스] 분해 안 되는 펩타이드 약물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차세대 약물로 주목받는 펩타이드 치료제의 약효를 대폭 늘릴 기술이 개발됐다. 크리스티안 헤이니스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분자생물학과 교수팀 ... 생화학과 교수는 “시스테인의 위치와 다리를 이루는 물질을 바꿔 다양한 펩타이드를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557-018-0042- ... ...
- [과학뉴스] 조용히 수영하는 ‘뱀장어 로봇’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양으로 돌아가는 ‘앨라스토머’ 소재로 만들었고, 전기를 공급한 곳만 구부러지도록 제작해 로봇이 몸통을 휘었다 펴기를 반복하면서 헤엄친다. 속도는 초당 약 1.9mm다. 마이클 톨리 UC샌디에이고 기계항공공학과 교수는 “실제 동물의 행동을 흉내 낸데다 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해양생물을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