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으)로 총 4,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얻으려는 것은 뭘까요? 바로 ‘세상을 이루는 근본적인 물질이 무엇인가’라는 문제의 답을 찾으려는 거예요. 묻기는 쉽지만 답하기는 어려운 질문이죠.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수소, 산소 같은 원소를 발견하고 주기율표*를 완성하는 연구를 해왔어요. 이는 마침내 원소들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밝은 조명을 구하면 어떨까요?”“오, 메흐씨, 메흐씨(Merci, 고맙습니다)! 그게 좋겠군요. 제 소행성이 살기 좋은 곳이 되면, 나중에 탐정님도 놀러 오셔요!”떠나는 어린 왕자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꿀록 탐정이 비행 조종사에게 물었어요.“그런데 있잖아, 어린 왕자님이 처음 들어오면서 뭐라 ... ...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헤집어놓은 거였어요. 물론 모르고 그런 거겠죠(웃음). 아라온은 선체가 낮아 북극곰이 언제든 넘어올 수 있는데, 곰이 주변을 뜨지 않아 24시간 동안 대치가 이어졌어요. 난리도 아니였죠. 곰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배 입구를 막고, 소리에 민감한 북극곰이 자리를 떠주길 바라며 헬리콥터를 2시간에 ... ...
- 알아두면 쓸모 있는~ 수학동아 알차게 보는 꿀팁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인공지능은 물론 건축과 배송 등 여러 분야에서 수학이 활약하고 있으니 관심 있는 주제부터 수학이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세요. 그러다 보면 수학적으로 더 공부하고 싶은 분야가 생길 거고, 그때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면 돼요. Q 수학자는 공식을 만드는 일까지만 하나요? 그 이상까지 ... ...
- [기획] 숫자로 되돌아보는 2020 핫이슈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시작한 올해가 마스크와 함께 저물어가네요. 여러분은 어떤 소식이 기억에 남나요? 제가 2020년 한국과 세계를 뒤흔든 이슈를 숫자로 정리해드릴게요! 자료 출처 : 교육부, 기상청, 중소벤처기업부, 환경부, COVID-19 Pandemic Repercussions on the Use and Management of Plastics, Cogniti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각도가 너무 커서 블랙홀 질량 연구에 큰 의미가 없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2020년 2월 12일자에 발표했습니다.나선팔의 각도로 블랙홀의 총 질량을 예측하고, 다양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니 놀랍습니다. 시민천문학자가 어설프게 그린 나선팔이 큰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에 대해 수험자의 정면만 가리는 가림막은 비말을 차단하기에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이럴 때 필요한 건 실험! 과학동아는 경기 고양시에 있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을 찾아갔습니다. 이곳 실내공기품질연구단이 고속 카메라와 입자의 흐름을 계측하는 입자영상유속계를 이용해 식당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2화. 소중한 수학 가족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내에서 유행에 민감한 패션 감각으로도 유명하셨었죠. 2020년을 마무리하며이렇듯 사제지간으로 이어지는 수학 가족도 있지만, 수학 연구를 하다 보면 수많은 소중한 동료, 혹은 선후배 수학 연구자와 함께하기 마련입니다. 연구는 결코 혼자 하는 게 아니니까요. 때로는 같은 연구를 하지 않더라도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해요. 이렇게 도전은 저의 일상입니다. 기회만 된다면 어떤 직업에든 도전하고 싶습니다. 제 전직을 살려 수학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을 위한 ‘수학 노래’도 만들고 싶습니다 ... ...
- [독일유학일기] 기말고사에 달린 학점 족보는 필수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매 학기 각 학과의 학사일정에서는 그 학기에 쓸 주제를 미리 공지한다. 학생들이 주제를 정하면 논문을 쓰는 동안 담당 교수가 배치된다. 담당 교수는 학생들의 논문 수정에 도움을 준다. 논문을 30쪽가량으로 완성하고, 교수의 최종 확인이 끝나면 마지막으로 발표가 남는다. 논문발표는 교수,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