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입자"(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3호
- 판을 ‘편광판’이라고 한다. 같은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 입자는 판을 통과하고 다른 입자는 반사돼 튕겨 나간다. 한 파장에서 광자 100만 개가 나오는 빛을 편광판에 쏘고, 빛이 통과하는 곳과 반사되는 곳에 각각 탐지기를 둔다면 빛이 통과하는 곳에 있는 탐지기에서는 과연 광자를 몇 개나 감지할 ...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두고 논쟁하기도 했다. 책을 읽는 내내, 그 대화를 눈 앞에서 듣는 듯해 가슴이 뛴다.힉스입자가 발견되고 중력파가 검출되는 물리학의 황금시대, 기라성 같은 과학자들의 대화에 동참해 보는 건 어떨까. 강연문, 기고문, 대화문, 인터뷰 등 가지각색의 방법으로 저자들을 만날수 있다. 영국의 ...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기체로 승화한다. 만약 이것을 물에 넣으면 거품이 생기면서 순간적으로 만들어진 얼음입자가 이산화탄소와 함께 하얀 연기로 날아간다. 아오에 교수는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어 생긴 흰 연기가 공기보다 무겁다는 점에 주목했다. 황화수소 기체처럼 말이다. 그리고 마도카가 황화수소 중독사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물리·천문학부 교수(천체물리)“저도 그때 같이 이론을 하기로 마음 먹었어요. 당시에도 입자물리가 인기가 가장 많았는데 그건 너무 어려울 것 같아 고체 물리를 골랐습니다. 계산으로 새로운 재료의 성질을 찾아내는 학문이죠.”_지승훈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고체물리)“대학 때부터 한 달에 한 ... ...
- [새 책] 입자물리학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등과 대화하며 느끼고 깨달았던 것들을 토대로 독자들의 눈높이를 맞춘다. 최근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최초의 여성 소장이 된 파비올라 지아노티 박사에 대한 질투심을 드러낸 부분에서는, 그의 유머감각에 웃음이 나온다. 물리가 비록 복잡하고 어렵지만, 다른 사람들과 교감했던 이야기 속에 ... ...
- [과학뉴스]척! 하고 붙이면 심박수가 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크기가 워낙 작아 이를 균일하게 코팅하기가 어려웠어요. 이에 연구팀은 금 나노 입자를 특수한 액체에 녹여 다루기 쉽게 만들었어요. 그 뒤 이 액체를 실리콘 기판에 얇게 발라 기억 장치를 만드는 데 성공했지요.연구팀은 완성된 기억 장치를 몸에 붙여 심박수를 측정해 보았어요. 그 결과, ... ...
- [News & Issue] ‘꽉 찬’ 주기율표 새로운 화학 문 여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새로운 원소라는 확신을 가질 수 없다는 게 이유였다. 또한 알파붕괴 발생시간, 알파입자가 가지고 나온 에너지량 등의 데이터 값이 1, 2차 실험에서 차이가 매우 크다는 점도 문제가 됐다.모리타 박사팀은 확증을 위해 실험을 재개했다. 하지만 이전과 다르게 좀처럼 발견이 이뤄지지 않았다. 모리타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있고, 알갱이가 너무 크면 잘 타지 않는다”며 “안전하게 큰 화력을 내기 위한 적정한 입자 크기와 혼합 비율, 양을 찾아내는 게 기술적 과제”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서로 다른 크기의 금속 분말을 섞어서 알맞은 화력과 연소 시간 등을 찾아내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금속 연료를 원하는 만큼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64의 등대를 관찰할 생각인가요?’*먼 옛날 인류가 암흑물질이라고 대충 명명한 새 입자들의 토양에는 수많은 미세 웜홀이 있었다. 공식 명칭은 따로 있었지만 군대에서는 미세 웜홀을 개미굴이라고 불렀다. 개미굴을 통해 함대를 보낼 수는 없었지만, 작은 우주선과 정보를 전달할 수는 있었다. 그 ...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피셔, 슈얼 라이트, J.B.S. 할데인 세 사람이 다윈과 멘델의 대화합을 끌어냈다. 단단한 입자 같은 유전자들이 키, 몸무게 같은 연속적인 변이도 만들며, 여기에 자연 선택이 작동함이 수학적으로 입증됐다. 자연 선택은 개체의 번식에 도움이 되는 유전자가 세대를 거치며 점차 흔해지는 과정이다. 즉,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