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해"(으)로 총 16,956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 번째 질문 l 허수는 꼭 필요한 수인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복소수예요. 그러니까 수 체계를 더 확장할 걱정이 없어요. 방정식의 해를 표현하기 위해 더 큰 차원의 수가 필요하지 않으니까요. * 이번 시간에는 허수 i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허수 못지않게 수학자들이 오랜 시 간 고민했던 대상이 있습니다. 바로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큰 상태,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로봇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죠. 연구팀은 “무너진 건물 같은 환경에서 구조 임무를 위해 반딧불이 로봇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어요. 이어 “로봇이 스스로 불을 끄고 켜면서 실제 반딧불이처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연구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몸통에는 진짜 ... ...
- [특집] 인간의 지능, 인간이 만든 지능을 품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피험자가 원하는 대로 움직이도록 유도할 차례다. 사람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서다. 이상완 교수는 “(앞으로 AI와 인간의 관계에서) 악순환을 경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사람이 사진을 찍을 때 예쁜 것만 찍는다면 이 편향된 데이터를 학습한 AI도 편향되겠죠. 우리의 편견이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중요하게 다루는 3가지 포인트는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배울 것인가다. 사회적 학습을 위해 관찰하는 대상은 나이대별로 다르다. 영장류는 젖을 떼기 전까지 보통 엄마와 보내는 시간이 많다. 랑구르, 마모셋, 개코원숭이, 여우원숭이, 마카크원숭이, 침팬지 등 대다수의 영장류들이 이른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기존 모델은 줄기세포끼리 이런 상호작용을 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 ‘엠브리오이드 바디(embryoid body)’라는 3차원 배아 체외배양 모델입니다. 엠브리오이드 바디는 2차원 엠브리오이드에 비해 세포 간 상호작용이 용이하고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이 많죠. 하지만 ... ...
- [특집] 슬라임 어떻게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우리나라 말로 ‘점액’이라는 뜻이에요. 점액은 동물이나 식물이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하는 끈끈한 물질이죠. 액체처럼 흐르는데, 고체처럼 손에 잡히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런 특징을 지닌 장난감을 ‘슬라임’이나 ‘액체 괴물’이라고 부르는 거예요. 1976년 미국 장난감 기업 마텔이 ... ...
- [가상 인터뷰] 암을 치료하려면? 오전보다는 오후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B형 대세포 림프종’이라는 혈액암을 앓았던 환자예요. 저와 같은 병을 가지신 분들을 위해 저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수리및계산과학연구단 의생명수학그룹 김재경 CI와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고영일 교수 공동연구팀의 연구에 참여했지요. 작년 12월 14일, 연구팀은 여성 암 환자의 경우 ...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발자취를 따라서…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보니 영국 런던에 도착하기까지 1시간이 남았네요. 저는 지금 교환학생 생활을 하기 위해 영국으로 떠나고 있습니다. 2022년에 전산학과에서 수학과로 전과했어요. 더 깊은 수학과 철학의 세계를 만나보고 싶었거든요. 우선 역사적으로 수학과 철학이 함께 발전해온 영국에서 교환학생으로 1년간 ... ...
- [Data math] 케첩 짤 때 팍 튀지 않게 하는 방법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부드러우면서 구멍이 많은데, 이런 물질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물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간단한 수학 모형을 만들거나 연구실에서 실험해 본답니다. Q ─ 이번 연구를 하게 된 계기가 있을까요? 우리는 이전에 어떤 물질에 공기를 주입하는 연구를 하고 있었어요. 그러던 중 공기의 압축에 관한 ... ...
- [Rethinking] 세 번째 질문, x가 방정식에서 사라진다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다른 언어나 다른 표현이 나왔을 것 같아요. 마치 언어에서 대화를 쉽고 간결하게 만들기 위해 대명사가 나온 것처럼요. 이런 것들도 어떻게 보면 다 추상적인 기호잖아요. 사람들이 쓰다 보면 불편해서라도 점점 설명을 줄이는 쪽으로 가지 않을까요? 우리가 자연스럽게 줄임말을 쓰는 것처럼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